개정판
지역사회복지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2013년 6월 10일
개정판 제1쇄 2020년 2월 25일
지은이 최항순 진석범 강마리아 김명선 조범훈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최항순 진석범 강마리아 김명선 조범훈, 2020
ISBN 978-89-7644-759-3
값 25,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 례
개정판 머리말/3
머리말/5
PART 1 지역사회복지의 일반적 이해
Chapter0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17
제1절 지역사회의 의의 17
1. 지역사회의 개념/17
2. 지역사회의 유형과 기능/19
제2절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22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특성/22
2. 지역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25
제3절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27
1. 지방자치의 의의/27
2. 지방자치가 지역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31
제4절 지역사회복지론의 범위 32
1.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조직/32
2. 지역사회복지론의 범위/35
▣ 연습문제 37
Chapter0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개관 43
제1절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43
1. 조선시대 이전/43
2. 일제 및 미군정 시대/50
3. 시동기: 정부수립~1960년대/52
4. 도약기: 1970~1990년대/54
5. 발전기: 2000년대 이후/58
제2절 외국의 지역사회복지 59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59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64
3. 일본의 지역사회복지/77
▣ 연습문제 81
PART 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과 과정
Chapter03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 89
제1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의의 89
1.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개념/89
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접근방법/91
제2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초 94
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95
2. 구조기능론과 권력의존이론/98
3. 교환이론과 사회구성론/101
4. 엘리트이론와 다원주의이론/104
5. 갈등이론과 자원동원이론/106
6. 사회적 자본이론/108
7. 기타 이론/110
제3절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 112
1. 로스만의 모형/113
2. 웨일과 갬블의 8모형/121
3. 기타 모형/128
▣ 연습문제 134
Chapter04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원칙과 과정 140
제1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원칙 140
1. 사회복지 실천의 기본 원칙/140
2.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원칙/148
제2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과정 151
1. 문제의 발견 및 확인/152
2. 욕구사정/154
3. 계획 및 개입/155
4. 평가 및 종결/157
▣ 연습문제 159
Chapter05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기술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165
제1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기술 165
1. 지역사회 욕구사정 기술/165
2. 옹호 기술/166
3. 연계 기술/169
4. 조직화 기술/170
5. 지역사회 교육 기술/174
6. 자원 개발 및 동원 기술/175
7. 협상 및 갈등조정 기술/178
8. 임파워먼트 기술/180
제2절 사회복지사의 역할 모형 182
1. 지역사회개발모형/182
2. 사회계획 및 정책모형/185
3. 사회행동모형/187
▣ 연습문제 190
Chapter06 지역사회보장계획 197
제1절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의의 197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성격/197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필요성과 도입 과정/200
제2절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과 절차 203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203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 절차/205
제3절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구성 내용과 실천 과제 208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구성 내용/208
2. 지역사회보장계획과 주민참여/210
3.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실천 과제/211
▣ 연습문제 214
PART 3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 영역
Chapter07 지역사회보장 운영체계 221
제1절 시 도 사회보장위원회 221
1. 시 도 사회보장위원회의 목적과 기능/221
2. 시 도 사회보장위원회의 조직과 운영/222
제2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3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추진 배경/223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목적 및 기능/225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조직과 운영/227
4. 읍 면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233
▣ 연습문제 237
Chapter08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Ⅰ) 241
제1절 지역사회복지관 241
1. 지역사회복지관의 의의/241
2.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 과정/244
3. 지역사회복지관의 현황/246
4. 외국의 지역사회복지관/250
5.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 방향/255
제2절 사회복지협의회 257
1. 사회복지협의회의 의의/257
2.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 과정/261
3. 사회복지협의회의 현황/262
4. 외국의 사회복지협의회/266
5.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 방향/270
제3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73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의의/273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전 과정/276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현황/277
4. 외국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282
5.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전 방향/290
▣ 연습문제 293
Chapter09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Ⅱ) 300
제1절 자원봉사센터 300
1. 자원봉사센터의 의의/300
2. 자원봉사센터의 발전 과정/303
3. 자원봉사센터의 현황/305
4. 외국의 자원봉사 활동/317
5. 자원봉사센터의 발전 방향/322
제2절 지역자활센터 324
1. 지역자활센터의 의의/324
2. 지역자활센터의 발전 과정/325
3. 지역자활센터의 현황/328
4. 외국의 지역자활센터/335
5. 지역자활센터의 발전 방향/337
▣ 연습문제 340
Chapter10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특수 분야 344
제1절 사회적 경제의 의의 344
1. 사회적 경제의 개념/344
2. 사회적 경제 조직의 특성/345
제2절 사회적 기업 346
1. 사회적 기업의 의의/346
2. 사회적 기업의 현황/349
3.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향/352
제3절 사회적 협동조합 353
1. 사회적 협동조합의 의의/353
2. 사회적 협동조합의 현황/355
3. 사회적 협동조합의 발전 방향/356
제4절 마을기업 358
1. 마을기업의 의의/358
2. 마을기업의 현황/360
3. 마을기업의 발전 방향/361
▣ 연습문제 362
Chapter1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이해 364
제1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의의 364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364
2.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유형/366
3. 주민참여와 지역사회복지운동/369
제2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현황과 사례 376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발전 과정/376
2. 지역사회복지운동단체의 현황/379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사례/381
제3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실천 과제 384
▣ 연습문제 386
PART 4 지역사회복지의 동향과 과제
Chapter12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와 지역사회복지 동향 393
제1절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 393
1.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 등의 거시적 요인/393
2. 사회복지적 요인/396
제2절 최근 외국의 지역사회복지 동향 397
1. 미 국/397
2. 영 국/398
3. 일 본/399
4. 기타 국가/400
▣ 연습문제 402
Chapter13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발전 과제 403
제1절 지역사회복지의 바람직한 여건 조성 403
1. 지역사회복지와 거버넌스의 연계/403
2. 지역사회복지 서비스체계의 개선/407
제2절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의 활성화 409
1. 공공기관/409
2. 직접 서비스기관/410
3. 간접 서비스기관/411
4. 사회적 경제 조직(기업)/413
5. 지역사회복지운동/413
▣ 연습문제 414
참고문헌/417
찾아보기/429
개정판
지역사회복지론
최항순 진석범 강마리아 김명선 조범훈
개정판
머리말
2013년 지역사회복지론 초판 출간 이후 근 7년이 되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는 종래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대상범위를 사회복지 서비스보다 넓은 보건의료 교육 고용 주거 등을 포함하는 사회 서비스로 넓히면서 2015년 제정된 사회보장법에 의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2018년 정부의 종래 시설보호에서 지역사회 보호(community care)로의 정책방향 제시 등 제도와 정책 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또한 주민자치, 주민참여 등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이나 민주화의 진전과 같은 지역사회복지의 환경 변화를 적지 않게 경험하였다.
이번 지역사회복지론(개정판)은 이러한 최근의 지역사회복지 제도 및 환경 변화의 내용을 충실히 보완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또한 이번 개정작업에서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에 의거하여 목차를 대폭 변경하고 집필진도 새롭게 하였다. 특히 제3장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초, 제10장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특수 분야로서의 사회적 기업사회적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 경제 조직, 제11장의 지역사회복지운동 등은 이번 목차변경으로 새로이 추가된 주제들이다.
한편 각 장마다 연습문제를 복습 의미의 기초문제와 최근 기출문제로 구분하여 첨부하였다.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뿐 아니라 사회복지사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아무쪼록 2020년대를 여는 시점에서 발간되는 이 책이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에 대한 이해와 실제 적용 면에서 많은 기여가 있었으면 한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을 기꺼이 맡아 성심성의를 다해 주신 대영문화사의 임춘환 사장님과 편집부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2020년 2월
저자 일동
개정판
지역사회복지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2013년 6월 10일
개정판 제1쇄 2020년 2월 25일
지은이 최항순 진석범 강마리아 김명선 조범훈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최항순 진석범 강마리아 김명선 조범훈, 2020
ISBN 978-89-7644-759-3
값 25,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 례
개정판 머리말/3
머리말/5
PART 1 지역사회복지의 일반적 이해
Chapter0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17
제1절 지역사회의 의의 17
1. 지역사회의 개념/17
2. 지역사회의 유형과 기능/19
제2절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22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특성/22
2. 지역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25
제3절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27
1. 지방자치의 의의/27
2. 지방자치가 지역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31
제4절 지역사회복지론의 범위 32
1.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조직/32
2. 지역사회복지론의 범위/35
▣ 연습문제 37
Chapter0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개관 43
제1절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43
1. 조선시대 이전/43
2. 일제 및 미군정 시대/50
3. 시동기: 정부수립~1960년대/52
4. 도약기: 1970~1990년대/54
5. 발전기: 2000년대 이후/58
제2절 외국의 지역사회복지 59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59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64
3. 일본의 지역사회복지/77
▣ 연습문제 81
PART 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과 과정
Chapter03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 89
제1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의의 89
1.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개념/89
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접근방법/91
제2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초 94
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95
2. 구조기능론과 권력의존이론/98
3. 교환이론과 사회구성론/101
4. 엘리트이론와 다원주의이론/104
5. 갈등이론과 자원동원이론/106
6. 사회적 자본이론/108
7. 기타 이론/110
제3절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 112
1. 로스만의 모형/113
2. 웨일과 갬블의 8모형/121
3. 기타 모형/128
▣ 연습문제 134
Chapter04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원칙과 과정 140
제1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원칙 140
1. 사회복지 실천의 기본 원칙/140
2.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원칙/148
제2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과정 151
1. 문제의 발견 및 확인/152
2. 욕구사정/154
3. 계획 및 개입/155
4. 평가 및 종결/157
▣ 연습문제 159
Chapter05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기술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165
제1절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기술 165
1. 지역사회 욕구사정 기술/165
2. 옹호 기술/166
3. 연계 기술/169
4. 조직화 기술/170
5. 지역사회 교육 기술/174
6. 자원 개발 및 동원 기술/175
7. 협상 및 갈등조정 기술/178
8. 임파워먼트 기술/180
제2절 사회복지사의 역할 모형 182
1. 지역사회개발모형/182
2. 사회계획 및 정책모형/185
3. 사회행동모형/187
▣ 연습문제 190
Chapter06 지역사회보장계획 197
제1절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의의 197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성격/197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필요성과 도입 과정/200
제2절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과 절차 203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203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 절차/205
제3절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구성 내용과 실천 과제 208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구성 내용/208
2. 지역사회보장계획과 주민참여/210
3.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실천 과제/211
▣ 연습문제 214
PART 3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 영역
Chapter07 지역사회보장 운영체계 221
제1절 시 도 사회보장위원회 221
1. 시 도 사회보장위원회의 목적과 기능/221
2. 시 도 사회보장위원회의 조직과 운영/222
제2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3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추진 배경/223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목적 및 기능/225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조직과 운영/227
4. 읍 면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233
▣ 연습문제 237
Chapter08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Ⅰ) 241
제1절 지역사회복지관 241
1. 지역사회복지관의 의의/241
2.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 과정/244
3. 지역사회복지관의 현황/246
4. 외국의 지역사회복지관/250
5.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 방향/255
제2절 사회복지협의회 257
1. 사회복지협의회의 의의/257
2.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 과정/261
3. 사회복지협의회의 현황/262
4. 외국의 사회복지협의회/266
5.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 방향/270
제3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73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의의/273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전 과정/276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현황/277
4. 외국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282
5.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전 방향/290
▣ 연습문제 293
Chapter09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Ⅱ) 300
제1절 자원봉사센터 300
1. 자원봉사센터의 의의/300
2. 자원봉사센터의 발전 과정/303
3. 자원봉사센터의 현황/305
4. 외국의 자원봉사 활동/317
5. 자원봉사센터의 발전 방향/322
제2절 지역자활센터 324
1. 지역자활센터의 의의/324
2. 지역자활센터의 발전 과정/325
3. 지역자활센터의 현황/328
4. 외국의 지역자활센터/335
5. 지역자활센터의 발전 방향/337
▣ 연습문제 340
Chapter10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특수 분야 344
제1절 사회적 경제의 의의 344
1. 사회적 경제의 개념/344
2. 사회적 경제 조직의 특성/345
제2절 사회적 기업 346
1. 사회적 기업의 의의/346
2. 사회적 기업의 현황/349
3.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향/352
제3절 사회적 협동조합 353
1. 사회적 협동조합의 의의/353
2. 사회적 협동조합의 현황/355
3. 사회적 협동조합의 발전 방향/356
제4절 마을기업 358
1. 마을기업의 의의/358
2. 마을기업의 현황/360
3. 마을기업의 발전 방향/361
▣ 연습문제 362
Chapter1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이해 364
제1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의의 364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364
2.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유형/366
3. 주민참여와 지역사회복지운동/369
제2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현황과 사례 376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발전 과정/376
2. 지역사회복지운동단체의 현황/379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사례/381
제3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실천 과제 384
▣ 연습문제 386
PART 4 지역사회복지의 동향과 과제
Chapter12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와 지역사회복지 동향 393
제1절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 393
1.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 등의 거시적 요인/393
2. 사회복지적 요인/396
제2절 최근 외국의 지역사회복지 동향 397
1. 미 국/397
2. 영 국/398
3. 일 본/399
4. 기타 국가/400
▣ 연습문제 402
Chapter13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발전 과제 403
제1절 지역사회복지의 바람직한 여건 조성 403
1. 지역사회복지와 거버넌스의 연계/403
2. 지역사회복지 서비스체계의 개선/407
제2절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의 활성화 409
1. 공공기관/409
2. 직접 서비스기관/410
3. 간접 서비스기관/411
4. 사회적 경제 조직(기업)/413
5. 지역사회복지운동/413
▣ 연습문제 414
참고문헌/417
찾아보기/429
개정판
지역사회복지론
최항순 진석범 강마리아 김명선 조범훈
개정판
머리말
2013년 지역사회복지론 초판 출간 이후 근 7년이 되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는 종래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대상범위를 사회복지 서비스보다 넓은 보건의료 교육 고용 주거 등을 포함하는 사회 서비스로 넓히면서 2015년 제정된 사회보장법에 의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2018년 정부의 종래 시설보호에서 지역사회 보호(community care)로의 정책방향 제시 등 제도와 정책 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또한 주민자치, 주민참여 등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이나 민주화의 진전과 같은 지역사회복지의 환경 변화를 적지 않게 경험하였다.
이번 지역사회복지론(개정판)은 이러한 최근의 지역사회복지 제도 및 환경 변화의 내용을 충실히 보완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또한 이번 개정작업에서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에 의거하여 목차를 대폭 변경하고 집필진도 새롭게 하였다. 특히 제3장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초, 제10장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특수 분야로서의 사회적 기업사회적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 경제 조직, 제11장의 지역사회복지운동 등은 이번 목차변경으로 새로이 추가된 주제들이다.
한편 각 장마다 연습문제를 복습 의미의 기초문제와 최근 기출문제로 구분하여 첨부하였다.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뿐 아니라 사회복지사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아무쪼록 2020년대를 여는 시점에서 발간되는 이 책이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에 대한 이해와 실제 적용 면에서 많은 기여가 있었으면 한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을 기꺼이 맡아 성심성의를 다해 주신 대영문화사의 임춘환 사장님과 편집부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2020년 2월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