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30년 만에 부활된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어느새 20여 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그 동안 지방자치에 주민직접참여제도가 강화되고, 지방의원도 무보수 명예직에서 유보수 전문직으로 전환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아울러 지방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지방정치 지망생의 수도 크게 증가했다. 지방자치가 주민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실감한 일반 주민들도 지방선거뿐 아니라 지방자치 전반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가운데 지방자치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에 대한 요구가 적지 않게 제기되었다. 그것은 대학의 전공 학생을 위한 교재는 무수히 많이 출판되었지만 일반 주민이나 지방정치 지망생을 대상으로 하는 책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 책을 내게 되었다. 따라서 비전공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복잡한 내용을 간단하고 쉽게 쓰고자 노력했다. 이 책은 저자의 ??한국지방자치론??을 중심으로 비전공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만들어진 책이다. 따라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자의 ??한국지방자치론??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아무쪼록 이 책이 지방자치에 대한 이해를 높여 한국의 지방자치가 발전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2010년 3월
정일섭
차 례
차 례
제1장 지방자치의 의의 15 | 제9장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 137 제3절 자체수입 207 제14장 지방자치의 발전 과제 248 참고 문헌/260 |
1991년 30년 만에 부활된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어느새 20여 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그 동안 지방자치에 주민직접참여제도가 강화되고, 지방의원도 무보수 명예직에서 유보수 전문직으로 전환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아울러 지방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지방정치 지망생의 수도 크게 증가했다. 지방자치가 주민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실감한 일반 주민들도 지방선거뿐 아니라 지방자치 전반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가운데 지방자치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에 대한 요구가 적지 않게 제기되었다. 그것은 대학의 전공 학생을 위한 교재는 무수히 많이 출판되었지만 일반 주민이나 지방정치 지망생을 대상으로 하는 책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 책을 내게 되었다. 따라서 비전공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복잡한 내용을 간단하고 쉽게 쓰고자 노력했다. 이 책은 저자의 ??한국지방자치론??을 중심으로 비전공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만들어진 책이다. 따라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자의 ??한국지방자치론??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아무쪼록 이 책이 지방자치에 대한 이해를 높여 한국의 지방자치가 발전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2010년 3월
정일섭
차 례
차 례
제1장 지방자치의 의의 15 | 제9장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 137 제3절 자체수입 207 제14장 지방자치의 발전 과제 248 참고 문헌/2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