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판]
새 인사행정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발행 1996년 5월 10일
제2판 제1쇄 발행 1999년 3월 10일
제3판 제1쇄 발행 2001년 8월 30일
제4판 제1쇄 발행 2005년 1월 30일
제5판 제1쇄 발행 2007년 8월 25일
제6판 제1쇄 발행 2008년 8월 25일
전정7판 제1쇄 발행 2011년 2월 25일
제8판 제1쇄 발행 2014년 2월 15일
제9판 제1쇄 발행 2018년 8월 31일
제10판 제1쇄 발행 2025년 1월 24일
지은이 강성철ㆍ이종수ㆍ진재구ㆍ최근열ㆍ이수영ㆍ강혜진ㆍ이하영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강성철ㆍ이종수ㆍ진재구ㆍ최근열ㆍ이수영ㆍ강혜진ㆍ이하영, 2025
ISBN 978-89-7644-971-9
값 34,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례
제10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4
제1편 인사행정의 의의 17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와 특징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 19
1. 인사행정의 개념과 성격/19
2. 인사행정과 인사관리/20
제2절 현대 인사행정의 특징 23
제3절 인사행정의 체계 27
1. 내적 체계: 인사행정의 기능/27
2. 외적 체계: 인사행정과 환경과의 관계/30
제4절 인사행정의 주요 가치 31
1. 민주성/31
2. 효율성/32
3. 사회적 형평성/33
4. 공무원의 개인적 권리/33
제2편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37
제2장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제1절 직업공무원제도 39
1. 유럽과 미국에서 인사행정의 발달/39
2. 직업공무원제의 의의/42
3. 직업공무원제의 수립 요건/43
4.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44
5. 최근 경향/45
제2절 정실제와 엽관제 46
1. 발달 배경/46
2. 정실제와 엽관제의 의의/50
3. 엽관제의 장단점/51
4. 최근 경향/53
제3절 실적제 53
1. 발달 배경/53
2. 의의/57
3. 효과/60
4. 최근 경향/62
제4절 대표관료제 62
1. 발달 배경/62
2. 의의/64
3. 효과/68
4. 다양성관리/70
5. 한국의 통합인사제도/72
제3장 인사기관
제1절 인사기관의 의의와 발달 과정 75
제2절 중앙인사기관의 설립 목적과 조직 특성 77
1. 중앙인사기관의 설립 목적/77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77
제3절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형태 81
1. 독립합의형: 위원회형(commission-type)/82
2. 비독립단독형: 집행부형(부처형: executive-type)/84
3. 절충형/85
제4절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86
1. 중앙인사기관의 기능/86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과 기능과의 관계/88
제5절 주요 국가의 중앙인사기관 90
1. 미국의 중앙인사기관/90
2. 영국의 중앙인사기관/95
3. 일본의 중앙인사기관/98
제6절 한국의 중앙인사기관 101
1. 중앙인사기관의 변천과 기능/101
2. 중앙인사기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04
제7절 부처 인사기관 107
1. 중앙인사기관에 대한 도전/107
2.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상의 지위/108
3.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 형태/109
4. 한국 부처 인사기관의 특성과 발전 방안/111
제8절 지방자치단체 인사기관 112
1. 인사담당 부서/112
2. 인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13
3. 인사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18
4. 소청심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24
제3편공직의 분류 체계 129
제4장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제1절 계급제 131
1. 계급제의 의의/131
2. 계급제의 특징/132
3. 주요 국가의 계급제/133
4. 계급제의 장단점/134
제2절 직위분류제 136
1. 직위분류제의 의의와 발전/136
2. 직위분류제의 수립 절차/140
3. 직위분류제의 장단점/155
4. 한국 정부의 직무분석/156
제3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성 비교 및 조화 시도 160
1.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성 비교/160
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조화:미국과 영국의 경험/162
제5장 공무원의 구분 체계
제1절 공무원의 구분 기준 167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167
2. 직무나 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168
3. 근무 시간에 의한 구분/169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169
제2절 한국 공무원의 구분 169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170
2. 직무 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 경력직 공무원과특수경력직 공무원/171
3. 근무 시간에 의한 공무원 구분: 전일제 공무원과시간선택제 공무원/179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 정규직 공무원과임기제 공무원/179
제3절 고위공무원단 181
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의의와 특징/181
2. 외국의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과 발달/183
3. 한국의 고위공무원단제도/186
제4편 인사행정의 활동 국면 199
제6장 인적자원계획
제1절 인적자원계획의 의의 201
제2절 인적자원계획의 중요성 202
제3절 인적자원계획 과정 203
1. 인적 자원 수요 예측 단계/204
2. 인적 자원 공급 대안 결정 단계/206
3. 시행 단계/207
4. 평가 단계/207
제7장 임용
제1절 임용의 의의 및 유형 209
1. 임용의 의의/209
2. 임용의 유형/210
제2절 외부임용(신규채용) 212
1. 외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12
2. 모집/216
3. 채용시험/222
4. 채용 후보자의 등록 및 채용후보자명부 작성/229
5. 임용 추천/229
6. 시보임용/230
7. 임명 및 보직/231
제3절 내부임용 231
1. 내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31
2. 수직적 이동/231
3. 수평적 이동/236
4. 해직 및 복직/239
5. 퇴직관리/242
제4절 공직의 개방 245
1. 개방형/245
2. 폐쇄형/246
3. 인사행정의 현실: 두 제도의 보완/247
4. 한국의 개방형 임용/247
제5절 한국의 인사교류 251
1. 인사교류의 종류/251
2. 운영과 평가/254
제8장 경력개발과 교육훈련
제1절 경력개발 257
1. 경력개발의 개념과 목적/257
2. 경력개발의 단계/258
3. 경력개발제도의 한계와 극복 방안/260
제2절 교육훈련 262
1. 교육훈련의 의의/262
2. 교육훈련 업무의 편성과 운영/264
3. 한국의 교육훈련/272
4.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278
제9장 성과관리
제1절 성과관리의 개요 283
1. 성과관리의 의의/283
2. 성과관리의 체계/284
제2절 근무성적평정 284
1. 근무성적평정의 의의/284
2. 근무성적평정의 목적/285
3. 근무성적평정의 유형/286
4. 근무성적평정의 운영 과정/295
5. 근무성적평정상의 오류/302
6. 한국의 근무성적평정/304
제3절 성과관리카드 320
1. 성과관리카드의 의의/320
2. 성과관리카드의 운영 현황/320
3. 성과관리카드의 내용/321
4. 성과관리카드의 활용 방안/322
제10장 사기와 동기부여
제1절 사기의 의의 324
1. 사기의 정의/324
2. 사기와 동기부여/325
3. 사기조사/325
제2절 동기부여이론 326
1. 내용이론/327
2. 과정이론/335
3. 공공봉사동기이론/341
제3절 사기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343
1. 사기의 저해 요인/343
2. 공무원의 사기앙양 방안/344
3. 고충심사제도/346
제11장 보수와 연금
제1절 보수 349
1. 보수의 의의/349
2. 공무원 보수의 특성과 보수제도 운영/351
3. 기본급에 대한 이론적 분류/353
4. 보수 수준 관리/362
5. 한국 공무원의 보수제도/365
6. 현행 공무원 보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370
제2절 연금 375
1. 연금의 의미와 목적/375
2. 한국 공무원연금제도의 연혁과주요 연금개혁 내용/378
3. 연금 적용 대상자/381
4. 연금재정의 확보와 관리/383
5. 연금급여의 종류/385
6. 연금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386
7.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관리혁신/390
제5편 공무원의 행동규범 395
제12장 행정윤리와 부패
제1절 행정윤리 397
1. 행정윤리의 의의/397
2. 행정윤리의 내용/399
3. 행정윤리의 제고 방안/403
제2절 부패 406
1. 부패의 의의/406
2. 부패의 유형/408
3. 부패의 원인과 대책/408
제13장 근무규율과 신분보장
제1절 근무규율 개관 412
제2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정책적 중립 413
1. 정치적 중립과 정책적 중립의 의의/413
2.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414
3. 정치적 중립의 내용/415
4. 정치적 중립에 대한 비판과 한계/416
5. 정치적 중립의 확립 요건/417
제3절 신분보장 418
1. 신분보장의 의의와 필요성/418
2. 신분보장의 한계/418
3. 한국 공무원의 신분보장제도와 개선 방안/419
제4절 징계 420
1. 징계의 의의/420
2. 징계의 사유/421
3. 징계 처분의 종류/421
4. 징계기관 및 절차/422
5. 징계제도 운영상의 유의점/424
제5절 소청심사제도 425
1. 소청심사제도의 의의/425
2. 소청심사기관/426
3. 소청심사 절차/427
4. 소청심사제도 운영의 문제점/428
제14장 공무원노동조합
제1절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와 효용 430
1.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430
2. 공무원노동조합의 효용과 한계/431
제2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특성 433
제3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활동 내용 434
1.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구성권(단결권)/435
2.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교섭권/436
3.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437
제4절 한국의 공무원노동조합 활동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438
제6편 한국 인사행정의 최근 경향 441
제15장 한국 인사행정의 최근 경향
제1절 한국의 인사혁신 443
1. 인사혁신 개관/443
2. 인사혁신의 문제점/449
제2절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 451
1. 의의/451
2. 역량의 개념과 속성/452
3. 역량 관련 개념들/455
4. 역량과 관련한 중요한 쟁점들/458
5.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의 개선 방향/463
제3절 인공지능(AI)과 인사행정 465
1. 인공지능 기술의 등장과 개념/465
2. 인공지능 기반 인사행정의 적용가능성/467
3. 인공지능 기반 인사행정의 효용과 한계/472
참고문헌/477
찾아보기/499
[제10판]
새 인사행정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발행 1996년 5월 10일
제2판 제1쇄 발행 1999년 3월 10일
제3판 제1쇄 발행 2001년 8월 30일
제4판 제1쇄 발행 2005년 1월 30일
제5판 제1쇄 발행 2007년 8월 25일
제6판 제1쇄 발행 2008년 8월 25일
전정7판 제1쇄 발행 2011년 2월 25일
제8판 제1쇄 발행 2014년 2월 15일
제9판 제1쇄 발행 2018년 8월 31일
제10판 제1쇄 발행 2025년 1월 24일
지은이 강성철ㆍ이종수ㆍ진재구ㆍ최근열ㆍ이수영ㆍ강혜진ㆍ이하영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강성철ㆍ이종수ㆍ진재구ㆍ최근열ㆍ이수영ㆍ강혜진ㆍ이하영, 2025
ISBN 978-89-7644-971-9
값 34,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례
제10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4
제1편 인사행정의 의의 17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와 특징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 19
1. 인사행정의 개념과 성격/19
2. 인사행정과 인사관리/20
제2절 현대 인사행정의 특징 23
제3절 인사행정의 체계 27
1. 내적 체계: 인사행정의 기능/27
2. 외적 체계: 인사행정과 환경과의 관계/30
제4절 인사행정의 주요 가치 31
1. 민주성/31
2. 효율성/32
3. 사회적 형평성/33
4. 공무원의 개인적 권리/33
제2편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37
제2장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제1절 직업공무원제도 39
1. 유럽과 미국에서 인사행정의 발달/39
2. 직업공무원제의 의의/42
3. 직업공무원제의 수립 요건/43
4.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44
5. 최근 경향/45
제2절 정실제와 엽관제 46
1. 발달 배경/46
2. 정실제와 엽관제의 의의/50
3. 엽관제의 장단점/51
4. 최근 경향/53
제3절 실적제 53
1. 발달 배경/53
2. 의의/57
3. 효과/60
4. 최근 경향/62
제4절 대표관료제 62
1. 발달 배경/62
2. 의의/64
3. 효과/68
4. 다양성관리/70
5. 한국의 통합인사제도/72
제3장 인사기관
제1절 인사기관의 의의와 발달 과정 75
제2절 중앙인사기관의 설립 목적과 조직 특성 77
1. 중앙인사기관의 설립 목적/77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77
제3절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형태 81
1. 독립합의형: 위원회형(commission-type)/82
2. 비독립단독형: 집행부형(부처형: executive-type)/84
3. 절충형/85
제4절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86
1. 중앙인사기관의 기능/86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과 기능과의 관계/88
제5절 주요 국가의 중앙인사기관 90
1. 미국의 중앙인사기관/90
2. 영국의 중앙인사기관/95
3. 일본의 중앙인사기관/98
제6절 한국의 중앙인사기관 101
1. 중앙인사기관의 변천과 기능/101
2. 중앙인사기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04
제7절 부처 인사기관 107
1. 중앙인사기관에 대한 도전/107
2.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상의 지위/108
3.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 형태/109
4. 한국 부처 인사기관의 특성과 발전 방안/111
제8절 지방자치단체 인사기관 112
1. 인사담당 부서/112
2. 인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13
3. 인사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18
4. 소청심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24
제3편공직의 분류 체계 129
제4장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제1절 계급제 131
1. 계급제의 의의/131
2. 계급제의 특징/132
3. 주요 국가의 계급제/133
4. 계급제의 장단점/134
제2절 직위분류제 136
1. 직위분류제의 의의와 발전/136
2. 직위분류제의 수립 절차/140
3. 직위분류제의 장단점/155
4. 한국 정부의 직무분석/156
제3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성 비교 및 조화 시도 160
1.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성 비교/160
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조화:미국과 영국의 경험/162
제5장 공무원의 구분 체계
제1절 공무원의 구분 기준 167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167
2. 직무나 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168
3. 근무 시간에 의한 구분/169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169
제2절 한국 공무원의 구분 169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170
2. 직무 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 경력직 공무원과특수경력직 공무원/171
3. 근무 시간에 의한 공무원 구분: 전일제 공무원과시간선택제 공무원/179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 정규직 공무원과임기제 공무원/179
제3절 고위공무원단 181
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의의와 특징/181
2. 외국의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과 발달/183
3. 한국의 고위공무원단제도/186
제4편 인사행정의 활동 국면 199
제6장 인적자원계획
제1절 인적자원계획의 의의 201
제2절 인적자원계획의 중요성 202
제3절 인적자원계획 과정 203
1. 인적 자원 수요 예측 단계/204
2. 인적 자원 공급 대안 결정 단계/206
3. 시행 단계/207
4. 평가 단계/207
제7장 임용
제1절 임용의 의의 및 유형 209
1. 임용의 의의/209
2. 임용의 유형/210
제2절 외부임용(신규채용) 212
1. 외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12
2. 모집/216
3. 채용시험/222
4. 채용 후보자의 등록 및 채용후보자명부 작성/229
5. 임용 추천/229
6. 시보임용/230
7. 임명 및 보직/231
제3절 내부임용 231
1. 내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31
2. 수직적 이동/231
3. 수평적 이동/236
4. 해직 및 복직/239
5. 퇴직관리/242
제4절 공직의 개방 245
1. 개방형/245
2. 폐쇄형/246
3. 인사행정의 현실: 두 제도의 보완/247
4. 한국의 개방형 임용/247
제5절 한국의 인사교류 251
1. 인사교류의 종류/251
2. 운영과 평가/254
제8장 경력개발과 교육훈련
제1절 경력개발 257
1. 경력개발의 개념과 목적/257
2. 경력개발의 단계/258
3. 경력개발제도의 한계와 극복 방안/260
제2절 교육훈련 262
1. 교육훈련의 의의/262
2. 교육훈련 업무의 편성과 운영/264
3. 한국의 교육훈련/272
4.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278
제9장 성과관리
제1절 성과관리의 개요 283
1. 성과관리의 의의/283
2. 성과관리의 체계/284
제2절 근무성적평정 284
1. 근무성적평정의 의의/284
2. 근무성적평정의 목적/285
3. 근무성적평정의 유형/286
4. 근무성적평정의 운영 과정/295
5. 근무성적평정상의 오류/302
6. 한국의 근무성적평정/304
제3절 성과관리카드 320
1. 성과관리카드의 의의/320
2. 성과관리카드의 운영 현황/320
3. 성과관리카드의 내용/321
4. 성과관리카드의 활용 방안/322
제10장 사기와 동기부여
제1절 사기의 의의 324
1. 사기의 정의/324
2. 사기와 동기부여/325
3. 사기조사/325
제2절 동기부여이론 326
1. 내용이론/327
2. 과정이론/335
3. 공공봉사동기이론/341
제3절 사기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343
1. 사기의 저해 요인/343
2. 공무원의 사기앙양 방안/344
3. 고충심사제도/346
제11장 보수와 연금
제1절 보수 349
1. 보수의 의의/349
2. 공무원 보수의 특성과 보수제도 운영/351
3. 기본급에 대한 이론적 분류/353
4. 보수 수준 관리/362
5. 한국 공무원의 보수제도/365
6. 현행 공무원 보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370
제2절 연금 375
1. 연금의 의미와 목적/375
2. 한국 공무원연금제도의 연혁과주요 연금개혁 내용/378
3. 연금 적용 대상자/381
4. 연금재정의 확보와 관리/383
5. 연금급여의 종류/385
6. 연금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386
7.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관리혁신/390
제5편 공무원의 행동규범 395
제12장 행정윤리와 부패
제1절 행정윤리 397
1. 행정윤리의 의의/397
2. 행정윤리의 내용/399
3. 행정윤리의 제고 방안/403
제2절 부패 406
1. 부패의 의의/406
2. 부패의 유형/408
3. 부패의 원인과 대책/408
제13장 근무규율과 신분보장
제1절 근무규율 개관 412
제2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정책적 중립 413
1. 정치적 중립과 정책적 중립의 의의/413
2.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414
3. 정치적 중립의 내용/415
4. 정치적 중립에 대한 비판과 한계/416
5. 정치적 중립의 확립 요건/417
제3절 신분보장 418
1. 신분보장의 의의와 필요성/418
2. 신분보장의 한계/418
3. 한국 공무원의 신분보장제도와 개선 방안/419
제4절 징계 420
1. 징계의 의의/420
2. 징계의 사유/421
3. 징계 처분의 종류/421
4. 징계기관 및 절차/422
5. 징계제도 운영상의 유의점/424
제5절 소청심사제도 425
1. 소청심사제도의 의의/425
2. 소청심사기관/426
3. 소청심사 절차/427
4. 소청심사제도 운영의 문제점/428
제14장 공무원노동조합
제1절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와 효용 430
1.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430
2. 공무원노동조합의 효용과 한계/431
제2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특성 433
제3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활동 내용 434
1.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구성권(단결권)/435
2.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교섭권/436
3.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437
제4절 한국의 공무원노동조합 활동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438
제6편 한국 인사행정의 최근 경향 441
제15장 한국 인사행정의 최근 경향
제1절 한국의 인사혁신 443
1. 인사혁신 개관/443
2. 인사혁신의 문제점/449
제2절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 451
1. 의의/451
2. 역량의 개념과 속성/452
3. 역량 관련 개념들/455
4. 역량과 관련한 중요한 쟁점들/458
5.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의 개선 방향/463
제3절 인공지능(AI)과 인사행정 465
1. 인공지능 기술의 등장과 개념/465
2. 인공지능 기반 인사행정의 적용가능성/467
3. 인공지능 기반 인사행정의 효용과 한계/472
참고문헌/477
찾아보기/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