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 행정학개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발행 2025년 2월 19일
지은이 심익섭 박병식 김서용 김흥회 남창우 박건우 박동균ㆍ박종수ㆍ손경희ㆍ손종민ㆍ윤은기ㆍ이재호ㆍ 이행준
장인봉ㆍ전광섭ㆍ진세혁ㆍ최낙혁ㆍ황희영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심익섭 외, 2025
ISBN 978-89-7644-977-1
값 34,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머리말/2
제1장 행정과 행정학 15
제1절 행정의 의미와 범주 17
1. 행정의 의미/17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비영리부문/19
3. 행정의 담당자/24
제2절 행정의 필요성 27
1. 공유지의 비극/27
2. 시장실패/28
제3절 행정시스템의 기본 틀 이해 30
1. 행정환경/31
2. 프로그램 관리/31
3. 자원 관리/32
4. 혁신 관리/33
제4절 행정학의 이해 34
1. 행정학의 의의와 다학제적 특성/34
2. 종합학문으로서의 행정학/36
3. 행정학과 다른 사회과학의 관계/37
제2장 행정과 행정환경 43
제1절 행정과 행정환경의 이해 45
제2절 행정과 정치적 환경 53
1. 행정과 정치 관계의 이해/53
2. 행정-정치의 통제/55
3. 관료제의 정치적 통제/56
4. 우리나라 행정-정치 관계의 발전 방향/58
제3절 행정과 경제적 환경 61
1. 행정과 경제적 환경/61
2.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민영화/64
3. 민관협력을 통한 행정 효율성 증진/65
4. 공공서비스 민간위탁의 효율성과 그 논의/66
5. 시장에 대한 정부규제/67
제4절 행정과 시민사회 70
1. 행정과 시민사회의 이해/70
2. 시민사회와 거버넌스/72
3. 행정-시민사회의 방향: 거버넌스의 성공 요소/74
4. 행정-시민사회 관계와 공론의 장 형성/75
제3장 행정학 발달과 이론 전개 79
제1절 행정이론의 개념 81
제2절 행정이론의 변화와 발전 과정 83
제3절 행정이론의 유형과 내용 86
1. 정치행정이원론과 일원론/86
2. 과학적 관리이론과 행정관리이론/87
3. 관료제이론/90
4. 행정행태이론/96
5. 체제이론/101
6. 비교행정이론과 발전행정이론/102
7. 신행정이론/108
8. 공공선택이론/112
9. 신제도주의이론/117
10. 신공공관리이론/122
11. 신공공서비스이론/125
12. 사회자본이론/128
13. 뉴거버넌스이론/131
제4장 행정철학, 윤리와 가치 137
제1절 행정철학의 주요 이론 139
1. 실증주의/139
2. 비판적 실재론/140
3. 현상학/143
4. 해석학/144
5. 사회 구성주의/145
6. 포스트모더니즘/146
7. 비판이론/148
제2절 행정윤리론 148
1. 행정윤리이론/148
2. 행정윤리의 주요 개념과 이슈/151
제3절 공공가치론 162
1. 왜 공공가치인가?/163
2. 계보학적 전통/164
3. 연구 경향/166
4. 가치의 종류와 내용/168
제4절 요약과 함의 170
제5장 조직관리 177
제1절 조직의 의의와 이론 179
1. 조직의 의의/179
2. 조직이론 이해의 필요성과 전개 과정/182
3. 조직이론의 유형/183
제2절 조직구조와 환경 190
1. 조직구조의 의의/190
2. 조직구조의 기본변수/191
3. 조직구조의 상황변수/192
4. 조직구조의 설계/193
제3절 조직행태 195
1. 조직행태의 본질/195
2. 동기부여/196
3. 리더십/203
제6장 인사행정 211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과 의의 213
제2절 인사행정의 체계와 특징 216
제3절 인사행정의 역사적 배경 217
1. 직업공무원제/217
2. 대표관료제/219
3. 엽관주의/222
4. 실적주의/224
제4절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226
1. 인사행정조직/226
2. 공직 분류/228
제5절 인사행정의 운영 과정 230
1. 인력계획/230
2. 채용: 모집과 선발/232
3. 임용/235
4. 교육훈련/236
5. 근무성적평가/238
제6절 인사행정의 복지기반 241
1. 복리후생/241
2. 보수/242
3. 연금/244
4. 노동조합/245
제7장 재무행정 251
제1절 재정정책과 정부 예산 253
1. 재정의 의의/253
2. 정부 예산의 의의/267
제2절 행정관리도구로서의 예산 275
1. 정부수입: 정부는 어떻게 돈을 버는가?/276
2. 정부지출: 정부는 돈을 어떻게 쓰는가?/279
3. 예산 과정 281
제3절 정부 예산의 변천 283
1. 예산이론의 변천/283
2. 예산제도의 개혁/286
제8장 정책학 293
제1절 정책학의 시작과 발전 295
제2절 정책분석 297
1. 정책분석의 의의/297
2. 정책분석의 역할/297
3. 정책분석의 절차/297
4. 정책분석의 주요 기법/298
5. 정책분석의 한계/303
제3절 정책집행 303
1. 정책집행의 의의와 중요성/303
2. 정책집행의 유형/304
3. 정책집행론의 전개/307
4. 정책집행의 접근방법/308
5. 정책집행의 제약요인/310
6. 정책집행의 요소/311
7. 정책집행의 단계/311
제4절 정책평가 312
1. 정책평가의 의의/312
2. 정책평가의 기준과 과정/314
3. 정책평가의 유형/315
제9장 지방자치 321
제1절 지방자치의 기초 323
1. 지방자치의 의의(계보)/323
2. 지방자치의 구성요소/324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과 주민참여 327
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327
2. 지방의회/327
3. 지방자치단체장/328
4. 주민참여제도/329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과 지방재정 332
1. 사무배분의 원칙/333
2.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334
3. 지방정부의 재정/337
제10장 시민사회와 정부 349
제1절 시민사회의 특성 351
1. 시민사회의 대두/351
2. 시민사회와 사회적 자본/353
3. 한국의 시민사회/354
제2절 시민사회의 조직화: NGO 356
1. NGO의 개념과 기능/356
2. NGO의 특성: 공익추구/359
3. NGO의 성장요인/360
4. 거버넌스와 NGO/362
제3절 NGO와 정부 363
1. 시민참여와 NGO/363
2. NGO와 정부의 관계/366
3. 지방자치와 NGO/367
제11장 전자정부 373
제1절 전자정부의 기본 개념과 발전 과정 375
1. 전자정부의 개념/375
2 전자정부의 발전 과정/376
3. 전자정부와 혁신/379
제2절 전자정부의 기반 기술과 서비스 381
1. 정보통신기술/381
2. 전자정부 기능/386
제3절 디지털 전환과 미래 전자정부 391
1.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중요성/391
2.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행정/393
3. 디지털플랫폼정부/398
4. 쟁점과 과제/400
제12장 정부규제 405
제1절 규제의 개념과 유형 407
1. 규제의 개념/407
2. 규제의 주요 이론/412
제2절 규제 거버넌스 418
1. 규제 거버넌스 개관/418
2. 규제 거버넌스의 구조와 운영/420
제3절 규제의 효과와 역설 425
1. 규제의 효과/425
2. 규제의 역설/429
제13장 위기관리(위험사회) 433
제1절 위기관리의 의의와 특징 435
1. 위기관리의 의의/436
2. 위기학습과 안전교육의 중요성/439
3. 위기관리의 제약요인/442
4.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443
제2절 위기관리의 과정과 활동 446
1. 위기 발생 이전 단계/447
2. 위기 발생 이후 단계/450
제3절 위기관리, 어떻게 할 것인가? 454
1. 극한 호우와 위기관리/456
2. 재난약자와 위기관리/457
3. 경찰과 위기관리/459
4. 테러와 위기관리/461
5. 다중밀집 인파사고와 위기관리/462
6. 안전 사회를 위한 자치경찰, 지역사회 경찰 활동/464
제14장 정부혁신 471
제1절 정부혁신의 의의 473
1. 정부혁신의 개념 및 필요성/473
제2절 정부혁신의 주요 내용 476
1. 정부혁신의 유형/476
2. 정부혁신의 특성/477
제3절 정부혁신의 이론적 기초 481
1. 신공공관리론/481
2. 뉴거버넌스이론/484
참고문헌 489
찾아보기 508
전환기 행정학개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발행 2025년 2월 19일
지은이 심익섭 박병식 김서용 김흥회 남창우 박건우 박동균ㆍ박종수ㆍ손경희ㆍ손종민ㆍ윤은기ㆍ이재호ㆍ 이행준
장인봉ㆍ전광섭ㆍ진세혁ㆍ최낙혁ㆍ황희영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심익섭 외, 2025
ISBN 978-89-7644-977-1
값 34,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머리말/2
제1장 행정과 행정학 15
제1절 행정의 의미와 범주 17
1. 행정의 의미/17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비영리부문/19
3. 행정의 담당자/24
제2절 행정의 필요성 27
1. 공유지의 비극/27
2. 시장실패/28
제3절 행정시스템의 기본 틀 이해 30
1. 행정환경/31
2. 프로그램 관리/31
3. 자원 관리/32
4. 혁신 관리/33
제4절 행정학의 이해 34
1. 행정학의 의의와 다학제적 특성/34
2. 종합학문으로서의 행정학/36
3. 행정학과 다른 사회과학의 관계/37
제2장 행정과 행정환경 43
제1절 행정과 행정환경의 이해 45
제2절 행정과 정치적 환경 53
1. 행정과 정치 관계의 이해/53
2. 행정-정치의 통제/55
3. 관료제의 정치적 통제/56
4. 우리나라 행정-정치 관계의 발전 방향/58
제3절 행정과 경제적 환경 61
1. 행정과 경제적 환경/61
2.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민영화/64
3. 민관협력을 통한 행정 효율성 증진/65
4. 공공서비스 민간위탁의 효율성과 그 논의/66
5. 시장에 대한 정부규제/67
제4절 행정과 시민사회 70
1. 행정과 시민사회의 이해/70
2. 시민사회와 거버넌스/72
3. 행정-시민사회의 방향: 거버넌스의 성공 요소/74
4. 행정-시민사회 관계와 공론의 장 형성/75
제3장 행정학 발달과 이론 전개 79
제1절 행정이론의 개념 81
제2절 행정이론의 변화와 발전 과정 83
제3절 행정이론의 유형과 내용 86
1. 정치행정이원론과 일원론/86
2. 과학적 관리이론과 행정관리이론/87
3. 관료제이론/90
4. 행정행태이론/96
5. 체제이론/101
6. 비교행정이론과 발전행정이론/102
7. 신행정이론/108
8. 공공선택이론/112
9. 신제도주의이론/117
10. 신공공관리이론/122
11. 신공공서비스이론/125
12. 사회자본이론/128
13. 뉴거버넌스이론/131
제4장 행정철학, 윤리와 가치 137
제1절 행정철학의 주요 이론 139
1. 실증주의/139
2. 비판적 실재론/140
3. 현상학/143
4. 해석학/144
5. 사회 구성주의/145
6. 포스트모더니즘/146
7. 비판이론/148
제2절 행정윤리론 148
1. 행정윤리이론/148
2. 행정윤리의 주요 개념과 이슈/151
제3절 공공가치론 162
1. 왜 공공가치인가?/163
2. 계보학적 전통/164
3. 연구 경향/166
4. 가치의 종류와 내용/168
제4절 요약과 함의 170
제5장 조직관리 177
제1절 조직의 의의와 이론 179
1. 조직의 의의/179
2. 조직이론 이해의 필요성과 전개 과정/182
3. 조직이론의 유형/183
제2절 조직구조와 환경 190
1. 조직구조의 의의/190
2. 조직구조의 기본변수/191
3. 조직구조의 상황변수/192
4. 조직구조의 설계/193
제3절 조직행태 195
1. 조직행태의 본질/195
2. 동기부여/196
3. 리더십/203
제6장 인사행정 211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과 의의 213
제2절 인사행정의 체계와 특징 216
제3절 인사행정의 역사적 배경 217
1. 직업공무원제/217
2. 대표관료제/219
3. 엽관주의/222
4. 실적주의/224
제4절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226
1. 인사행정조직/226
2. 공직 분류/228
제5절 인사행정의 운영 과정 230
1. 인력계획/230
2. 채용: 모집과 선발/232
3. 임용/235
4. 교육훈련/236
5. 근무성적평가/238
제6절 인사행정의 복지기반 241
1. 복리후생/241
2. 보수/242
3. 연금/244
4. 노동조합/245
제7장 재무행정 251
제1절 재정정책과 정부 예산 253
1. 재정의 의의/253
2. 정부 예산의 의의/267
제2절 행정관리도구로서의 예산 275
1. 정부수입: 정부는 어떻게 돈을 버는가?/276
2. 정부지출: 정부는 돈을 어떻게 쓰는가?/279
3. 예산 과정 281
제3절 정부 예산의 변천 283
1. 예산이론의 변천/283
2. 예산제도의 개혁/286
제8장 정책학 293
제1절 정책학의 시작과 발전 295
제2절 정책분석 297
1. 정책분석의 의의/297
2. 정책분석의 역할/297
3. 정책분석의 절차/297
4. 정책분석의 주요 기법/298
5. 정책분석의 한계/303
제3절 정책집행 303
1. 정책집행의 의의와 중요성/303
2. 정책집행의 유형/304
3. 정책집행론의 전개/307
4. 정책집행의 접근방법/308
5. 정책집행의 제약요인/310
6. 정책집행의 요소/311
7. 정책집행의 단계/311
제4절 정책평가 312
1. 정책평가의 의의/312
2. 정책평가의 기준과 과정/314
3. 정책평가의 유형/315
제9장 지방자치 321
제1절 지방자치의 기초 323
1. 지방자치의 의의(계보)/323
2. 지방자치의 구성요소/324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과 주민참여 327
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327
2. 지방의회/327
3. 지방자치단체장/328
4. 주민참여제도/329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과 지방재정 332
1. 사무배분의 원칙/333
2.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334
3. 지방정부의 재정/337
제10장 시민사회와 정부 349
제1절 시민사회의 특성 351
1. 시민사회의 대두/351
2. 시민사회와 사회적 자본/353
3. 한국의 시민사회/354
제2절 시민사회의 조직화: NGO 356
1. NGO의 개념과 기능/356
2. NGO의 특성: 공익추구/359
3. NGO의 성장요인/360
4. 거버넌스와 NGO/362
제3절 NGO와 정부 363
1. 시민참여와 NGO/363
2. NGO와 정부의 관계/366
3. 지방자치와 NGO/367
제11장 전자정부 373
제1절 전자정부의 기본 개념과 발전 과정 375
1. 전자정부의 개념/375
2 전자정부의 발전 과정/376
3. 전자정부와 혁신/379
제2절 전자정부의 기반 기술과 서비스 381
1. 정보통신기술/381
2. 전자정부 기능/386
제3절 디지털 전환과 미래 전자정부 391
1.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중요성/391
2.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행정/393
3. 디지털플랫폼정부/398
4. 쟁점과 과제/400
제12장 정부규제 405
제1절 규제의 개념과 유형 407
1. 규제의 개념/407
2. 규제의 주요 이론/412
제2절 규제 거버넌스 418
1. 규제 거버넌스 개관/418
2. 규제 거버넌스의 구조와 운영/420
제3절 규제의 효과와 역설 425
1. 규제의 효과/425
2. 규제의 역설/429
제13장 위기관리(위험사회) 433
제1절 위기관리의 의의와 특징 435
1. 위기관리의 의의/436
2. 위기학습과 안전교육의 중요성/439
3. 위기관리의 제약요인/442
4.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443
제2절 위기관리의 과정과 활동 446
1. 위기 발생 이전 단계/447
2. 위기 발생 이후 단계/450
제3절 위기관리, 어떻게 할 것인가? 454
1. 극한 호우와 위기관리/456
2. 재난약자와 위기관리/457
3. 경찰과 위기관리/459
4. 테러와 위기관리/461
5. 다중밀집 인파사고와 위기관리/462
6. 안전 사회를 위한 자치경찰, 지역사회 경찰 활동/464
제14장 정부혁신 471
제1절 정부혁신의 의의 473
1. 정부혁신의 개념 및 필요성/473
제2절 정부혁신의 주요 내용 476
1. 정부혁신의 유형/476
2. 정부혁신의 특성/477
제3절 정부혁신의 이론적 기초 481
1. 신공공관리론/481
2. 뉴거버넌스이론/484
참고문헌 489
찾아보기 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