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다
ESG경영에서 기후난제까지
펴낸날 제1판 제1쇄 2024년 12월 27일
지은이 박순애 외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박순애(서울대학교 공공성과관리연구부), 2024
ISBN 978-89-7644-975-7
값 23,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 저서는 2022년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연구총서로 발간되었음.
차례
지속가능한 미래를 시작하며/3
제1장 지속가능한 발전과 ESG
1 지속가능한 발전과 ESG 대두 배경 16
1) ESG의 등장과 확산/18
2) ESG 개념 및 구성 요소/21
2 ESG 성과와 평가 24
1) ESG 생태계/25
2) ESG 경영의 중요성/27
3 ESG 경영의 확산 31
4 ESG 경영 실천의 장애 33
1) ESG 해석과 평가의 모호함/33
2) 기업 내 ESG 경영 실행의 문제/35
5 ESG 경영의 향후 과제 36
1)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37
2) 디지털 기술의 활용/39
3) 새로운 방식의 협력/40
제2장 기후변화와 국제협약
1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 50
1)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의 내용/50
2)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의 성과/52
3)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의 한계/53
2 유엔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53
1) 유엔기후변화협약의 탄생 배경/53
2) 유엔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의 내용/55
3) 유엔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의 성과/58
4) 교토의정서의 한계/58
3 파리협정 59
1) 파리협정의 탄생 배경/59
2) 파리협정의 내용/60
3) 파리협정의 성과와 한계/62
4 기후변화 대응의 과제 64
제3장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믹스
1 글로벌 에너지 믹스 현황 76
2 에너지 전환의 최신 동향 79
1) 태양에너지 중심의 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79
2) 섹터 커플링을 통한 에너지 부문 연계 강화/81
3) 공정하고 포용적인 에너지 전환/82
3 해외 주요국의 청정에너지 전환 84
1) 스웨덴/85
2) 독일/86
3) 일본/89
4) 중국/91
4 에너지 믹스 정책의 시사점 96
제4장 순환경제: 자원순환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순환경제의 이해 108
1) 순환경제의 기원과 발전/108
2) 순환경제 개념의 정의/110
2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 114
1)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114
2)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118
3 순환경제에 대한 비판 122
4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 125
제5장 순환 디자인: 지속가능한 제품설계
1 순환 디자인의 이해 136
2 순환 디자인의 개념적 구조 139
1) 미시 단계: 순환 디자인 도구/139
2) 중간 단계: 제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포 엑스’/141
3) 거시 단계: 조직과 산업 생태계에서의 순환 디자인 통합/144
3 순환 디자인의 사례들 146
1) 의약제품 패키징의 순환 디자인/146
2) 조명산업의 순환 디자인, 시그니파이/148
3) 리빙랩을 통한 주방가구 순환생태계/149
4 순환 디자인의 확산을 위한 정책적 노력 151
1) 순환 디자인 관련 규제/151
2) 순환 디자인 정책의 방향성/153
제6장 환경영향을 추적하는 도구, 전과정평가
1 전과정평가의 이해 164
1) 전과정평가란/164
2) 전과정평가의 발전 과정/166
2 전과정평가의 방법 168
1) 다이내믹 전과정평가/168
2) 공간정보기반 전과정평가/169
3) 전과정 비용평가/171
3 전과정평가의 제품 적용 사례: 전기차 171
4 전과정평가의 수준별 적용 사례 177
1) 개인 라이프스타일의 전과정평가/177
2) 조직의 전과정평가/179
3) 국가의 전과정평가/180
5 전과정평가의 한계와 전망 181
제7장 자연자본 공시와 TNFD 권고안
1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NFD) 탄생의역사적 배경 196
2 자연자본의 이해 198
3 TNFD 권고안의 내용 및 특징 201
4 TNFD 권고안 실행을 위한 LEAP 접근법 203
1) LEAP 준비 단계, 범위 설정하기/204
2) 자연과의 접점 찾기/205
3) 의존성과 영향 평가/207
4) 위험과 기회 파악/208
5) 대응 및 공시 준비/210
5 TNFD 권고안의 한계와 미래 방향성 211
제8장 지속가능한 식량체계와 농업생태학
1 현 식량체계의 문제 224
1) 식량안보와 영양/224
2) 식량체계 이해관계자/225
3) 환경적 지속가능성/226
4) 농업의 산업화/227
2 농업생태학이란 230
3 도시의 식량체계 설계 236
4 농업생태학의 사례 239
1) 농업생태학의 리빙랩 오스트리아 그랜드 팜/239
2) 멕시코와 니카라과 커피 생산 커뮤니티의 재탄생/240
3) 미국 캘리포니아 이스트 베이의 도시 농부들/242
4) 독일 프랑크푸르트 식품정책협의회/243
5 지속가능한 식량체계 전환을 위한 정책적 함의 244
제9장 지속가능한 도시와 재생건축
1 재생건축의 이해 256
1) 재생건축의 탄생 배경/256
2) 재생건축의 방법론/258
2 재생건축의 사례 264
1) 영국의 탄소제로 커뮤니티, 베드제드/265
2) 요람에서 요람으로, 네덜란드 파크 20/20/267
3) 지역 재생을 이끈 건축, 멕시코 플라야 비바 리조트/270
3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한 고려사항 272
제10장 기후난제를 위한 정책디자인
1 기후난제와 정부 대응역량 284
1) 난제의 이해/284
2) 난제의 대응방식/288
3) 난제 대응과 정부 역량/290
2 난제 대응과 정책 ‘디자인’ 291
1) 정책을 위한 디자인/292
2) 정책을 위한 디자인의 가치/294
3 정책을 위한 디자인 활용 301
찾아보기/311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다
ESG경영에서 기후난제까지
펴낸날 제1판 제1쇄 2024년 12월 27일
지은이 박순애 외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박순애(서울대학교 공공성과관리연구부), 2024
ISBN 978-89-7644-975-7
값 23,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 저서는 2022년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연구총서로 발간되었음.
차례
지속가능한 미래를 시작하며/3
제1장 지속가능한 발전과 ESG
1 지속가능한 발전과 ESG 대두 배경 16
1) ESG의 등장과 확산/18
2) ESG 개념 및 구성 요소/21
2 ESG 성과와 평가 24
1) ESG 생태계/25
2) ESG 경영의 중요성/27
3 ESG 경영의 확산 31
4 ESG 경영 실천의 장애 33
1) ESG 해석과 평가의 모호함/33
2) 기업 내 ESG 경영 실행의 문제/35
5 ESG 경영의 향후 과제 36
1)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37
2) 디지털 기술의 활용/39
3) 새로운 방식의 협력/40
제2장 기후변화와 국제협약
1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 50
1)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의 내용/50
2)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의 성과/52
3)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의 한계/53
2 유엔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53
1) 유엔기후변화협약의 탄생 배경/53
2) 유엔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의 내용/55
3) 유엔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의 성과/58
4) 교토의정서의 한계/58
3 파리협정 59
1) 파리협정의 탄생 배경/59
2) 파리협정의 내용/60
3) 파리협정의 성과와 한계/62
4 기후변화 대응의 과제 64
제3장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믹스
1 글로벌 에너지 믹스 현황 76
2 에너지 전환의 최신 동향 79
1) 태양에너지 중심의 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79
2) 섹터 커플링을 통한 에너지 부문 연계 강화/81
3) 공정하고 포용적인 에너지 전환/82
3 해외 주요국의 청정에너지 전환 84
1) 스웨덴/85
2) 독일/86
3) 일본/89
4) 중국/91
4 에너지 믹스 정책의 시사점 96
제4장 순환경제: 자원순환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순환경제의 이해 108
1) 순환경제의 기원과 발전/108
2) 순환경제 개념의 정의/110
2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 114
1)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114
2)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118
3 순환경제에 대한 비판 122
4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 125
제5장 순환 디자인: 지속가능한 제품설계
1 순환 디자인의 이해 136
2 순환 디자인의 개념적 구조 139
1) 미시 단계: 순환 디자인 도구/139
2) 중간 단계: 제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포 엑스’/141
3) 거시 단계: 조직과 산업 생태계에서의 순환 디자인 통합/144
3 순환 디자인의 사례들 146
1) 의약제품 패키징의 순환 디자인/146
2) 조명산업의 순환 디자인, 시그니파이/148
3) 리빙랩을 통한 주방가구 순환생태계/149
4 순환 디자인의 확산을 위한 정책적 노력 151
1) 순환 디자인 관련 규제/151
2) 순환 디자인 정책의 방향성/153
제6장 환경영향을 추적하는 도구, 전과정평가
1 전과정평가의 이해 164
1) 전과정평가란/164
2) 전과정평가의 발전 과정/166
2 전과정평가의 방법 168
1) 다이내믹 전과정평가/168
2) 공간정보기반 전과정평가/169
3) 전과정 비용평가/171
3 전과정평가의 제품 적용 사례: 전기차 171
4 전과정평가의 수준별 적용 사례 177
1) 개인 라이프스타일의 전과정평가/177
2) 조직의 전과정평가/179
3) 국가의 전과정평가/180
5 전과정평가의 한계와 전망 181
제7장 자연자본 공시와 TNFD 권고안
1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NFD) 탄생의역사적 배경 196
2 자연자본의 이해 198
3 TNFD 권고안의 내용 및 특징 201
4 TNFD 권고안 실행을 위한 LEAP 접근법 203
1) LEAP 준비 단계, 범위 설정하기/204
2) 자연과의 접점 찾기/205
3) 의존성과 영향 평가/207
4) 위험과 기회 파악/208
5) 대응 및 공시 준비/210
5 TNFD 권고안의 한계와 미래 방향성 211
제8장 지속가능한 식량체계와 농업생태학
1 현 식량체계의 문제 224
1) 식량안보와 영양/224
2) 식량체계 이해관계자/225
3) 환경적 지속가능성/226
4) 농업의 산업화/227
2 농업생태학이란 230
3 도시의 식량체계 설계 236
4 농업생태학의 사례 239
1) 농업생태학의 리빙랩 오스트리아 그랜드 팜/239
2) 멕시코와 니카라과 커피 생산 커뮤니티의 재탄생/240
3) 미국 캘리포니아 이스트 베이의 도시 농부들/242
4) 독일 프랑크푸르트 식품정책협의회/243
5 지속가능한 식량체계 전환을 위한 정책적 함의 244
제9장 지속가능한 도시와 재생건축
1 재생건축의 이해 256
1) 재생건축의 탄생 배경/256
2) 재생건축의 방법론/258
2 재생건축의 사례 264
1) 영국의 탄소제로 커뮤니티, 베드제드/265
2) 요람에서 요람으로, 네덜란드 파크 20/20/267
3) 지역 재생을 이끈 건축, 멕시코 플라야 비바 리조트/270
3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한 고려사항 272
제10장 기후난제를 위한 정책디자인
1 기후난제와 정부 대응역량 284
1) 난제의 이해/284
2) 난제의 대응방식/288
3) 난제 대응과 정부 역량/290
2 난제 대응과 정책 ‘디자인’ 291
1) 정책을 위한 디자인/292
2) 정책을 위한 디자인의 가치/294
3 정책을 위한 디자인 활용 301
찾아보기/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