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판
새내기를 위한 행정학
펴낸날 제1판 제1쇄 2001년 2월 28일
제2판 제1쇄 2014년 1월 10일
제3판 제1쇄 2025년 2월 28일
지은이 한국국정관리학회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한국국정관리학회, 2025
ISBN 978-89-7644-986-3
값 30,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례
제3판 머리말/3
개정판 머리말/6
초판 머리말/8
PART01 행정 현상과 행정학
CHAPTER01 행정의 의의 21
제1절 행정의 개념 21
1. 일반적 의미의 행정/22
2. 행정학에서의 행정/23
제2절 행정과 정치, 행정과 경영 27
1. 행정과 정치/28
2. 행정과 경영/29
3. 종합적 검토/31
제3절 행정의 유형 32
1. 국제행정과 국가행정: 담당 주체에 의한 분류/33
2. 계선행정, 참모행정, 보조행정: 조직 역할에 의한 분류/33
3. 전략기획행정, 중간관리행정, 운영관리행정: 업무 계층에 의한 분류/34
4. 권위적 행정, 참여적 행정, 방임적 행정: 리더의 역할에 의한 분류/35
5. 외교안보행정, 질서규제행정, 산업경제행정, 사회문화행정:정책 기능에 의한 분류/35
6. 기속행정과 재량행정, 권력행정과 비권력행정:법 적용기준에 의한 분류/36
제4절 정부와 행정환경 37
1. 정부/37
2. 행정환경/41
CHAPTER02 행정의 가치 47
제1절 행정가치의 개념과 유형 47
1. 가치의 개념/47
2. 행정가치의 개념과 유형/48
제2절 행정의 본질적 가치 48
1. 자유/49
2. 평등/52
3. 정의/55
4. 공익/60
제3절 행정의 수단적 가치 63
1. 합리성/63
2. 민주성/65
3. 합법성/67
4. 형평성/68
제4절 행정가치의 갈등과 조정 68
1. 자유와 평등/69
2. 민주성과 능률성, 능률성과 가외성/69
3. 가치 갈등의 조정: 열린 마음, 열린 사회/70
CHAPTER03 행정학 이론의 역사와 발전 73
제1절 행정학 연구의 태동 73
제2절 유럽의 행정학 75
1. 독일 행정학의 발달/75
2. 영국 행정학의 발달/76
제3절 미국 행정학의 발달 79
1. 행정학의 태동(1887~1910년)/79
2. 행정학의 발전기(1911~1950년)/81
3. 행정학의 성숙기(1951~1970년)/83
4. 현대 행정학(1970년 이후)/84
제4절 한국의 행정학 87
1. 한국 행정학의 발달 과정/87
2. 한국 행정학 발전 과정의 평가/89
CHAPTER04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과 접근법 93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93
1. 사회과학의 한 분과 학문/94
2.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와 연관된 종합 학문/94
3. 실천적 도구적 성격이 강한 응용 학문/95
4. 과학과 기술, 예술의 영역을 포괄/96
5. 공익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학문/96
제2절 행정학의 접근법 97
1. 행정학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97
2. 접근법의 분류/98
제3절 현대 행정학의 주요 접근법 99
1. 이념적 접근 방법/99
2. 행태론적 접근 방법/99
3. 체제론적 접근 방법/101
4. 제도론적 접근 방법/102
5. 현상학적 접근 방법/105
6. 공공선택이론/106
7. 거버넌스론/107
8. 신공공관리론/109
9. 신공공서비스론/111
PART02 행정학의 주요 분야
CHAPTER05 정책 과정과 정책 연구 115
제1절 정책 연구의 의의 115
1. 정책학의 학문적 특성과 유형/116
2. 정책학의 두 가지 접근 방법: 내용 vs. 과정 중심/122
제2절 정책 과정에 대한 이해 124
1. 정책의제 설정/124
2. 정책분석/128
3. 정책결정/132
4. 정책집행/137
5. 정책평가/142
CHAPTER06 조직과 개인 149
제1절 조직과 조직 과정 149
1. 조직의 정의/150
2. 조직의 존재 이유/153
3. 조직화/153
제2절 조직이론의 이해 155
1. 폐쇄형 조직이론/155
2. 개방형 조직이론/158
제3절 조직의 효과성 160
1. 합리적 목표이론/162
2. 체계이론/163
3. 이해관계자이론/164
4. 경쟁가치이론/165
제4절 조직구조와 설계 166
1. 조직구조/167
2. 조직구조의 구성 요소/168
3. 조직설계 유형/170
4. 효과적 조직설계/173
제5절 조직에서의 개인 175
1. 조직관리자 중심의 인간관의 변천/177
2. 조직구성원으로서의 개인/179
3. 동기부여이론/184
CHAPTER07 인사와 공무원 191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과 원리 191
1. 인사행정과 인적 자원의 관리/191
2. 인사행정의 기본 원리/193
3. 인사행정 제도의 발달/197
제2절 공직구조와 임용 201
1. 공직구조/201
2. 공무원 임용/206
제3절 공무원의 능력 발전 209
1. 능력 발전의 의의/209
2. 능력 발전의 방법/210
3. 공무원 교육훈련/212
제4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214
1. 직무 수행상의 의무/214
2. 참정권의 제한과 신분 보장/216
3. 근로기본권의 제한/218
CHAPTER08 재정과 예산 과정 223
제1절 정부 예산과 재정 기능 223
1. 정부 예산의 개념/223
2. 정부 재정의 기능/224
제2절 정부 예산의 유형과 원칙 227
1. 정부 예산의 유형/227
2. 정부 예산의 원칙/229
제3절 예산의 과정 233
1. 정부 예산의 회계연도/233
2. 정부 예산의 편성/233
3 예산의 심의 확정/237
4. 예산의 집행/241
5. 결산/245
제4절 예산 결정의 이론 248
1. 예산이론으로서의 점증주의와 총체주의/248
2. 점증주의/249
3. 총체주의/252
제5절 예산 제도의 발달 255
1. 통제, 관리, 계획, 감축의 예산 제도/255
2. 기타 예산 제도/256
PART03 사회 변화와 행정
CHAPTER09 지방자치 263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263
1. 지방자치의 개념/263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264
3. 지방자치단체/268
제2절 지방자치기관 270
1. 기관대립형과 기관통합형/270
2. 지방의회의 지위와 권한/270
3.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권한/273
4.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의 상호 관계/276
제3절 주민참여 278
1. 주민참여의 개념과 유형/278
2. 주민의 직접참여/280
제4절 지방자치와 광역행정 284
1. 광역행정의 의의/284
2. 광역행정의 방식/285
CHAPTER10 정보사회와 전자정부 287
제1절 정보화와 정보사회 287
1. 정보 및 정보화의 개념/287
2. 정보의 속성과 가치/288
3. 정보사회의 출현과 특성/291
제2절 정보사회의 행정환경 298
1. 공공 부문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도입과 역할/298
2. 정보화를 통한 거버넌스/299
3.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전자정부/301
4. 인공지능 도입과 지능정부의 출현/305
제3절 행정정보 체계 306
1. 정보 체계의 개념/306
2. 행정정보 체계의 발달/308
3. 행정정보 체계의 특성/309
4. 관리상의 쟁점/312
제4절 공공 부문 정보화의 방향 314
1. 정보관리의 방향/314
2. 빅데이터 시대의 공공행정/318
CHAPTER11 공공 갈등과 관리 321
제1절 공공 갈등의 개념과 원인 321
1. 공공 갈등의 개념/321
2. 공공 갈등의 특성과 확산 과정/325
3. 공공 갈등의 원인/328
4. 공공 갈등관리의 중요성/331
제2절 공공 갈등의 관리 및 해결 방법 333
1. 공공 갈등의 쟁점/333
2. 공공 갈등의 순환주기/335
3. 공공 갈등의 관리 및 해결 방법/338
4. 공공 갈등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342
제3절 대안적 갈등 해결 방법(ADR) 344
1. 갈등 해결 방법으로서 ADR/344
2. ADR의 개념과 종류/345
3. ADR 활용의 편익/349
4. 정부 부문에서 ADR 활용 방법/352
제4절 공공 협상의 원칙과 전략 357
1. 공공 협상의 개념과 특징/357
2. 공공 협상의 준비와 원칙/362
3. 공공 협상 시 고려 사항/364
4. 공공 협상의 기본 전략/367
참고문헌/371
찾아보기/391
제3판
새내기를 위한 행정학
펴낸날 제1판 제1쇄 2001년 2월 28일
제2판 제1쇄 2014년 1월 10일
제3판 제1쇄 2025년 2월 28일
지은이 한국국정관리학회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한국국정관리학회, 2025
ISBN 978-89-7644-986-3
값 30,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례
제3판 머리말/3
개정판 머리말/6
초판 머리말/8
PART01 행정 현상과 행정학
CHAPTER01 행정의 의의 21
제1절 행정의 개념 21
1. 일반적 의미의 행정/22
2. 행정학에서의 행정/23
제2절 행정과 정치, 행정과 경영 27
1. 행정과 정치/28
2. 행정과 경영/29
3. 종합적 검토/31
제3절 행정의 유형 32
1. 국제행정과 국가행정: 담당 주체에 의한 분류/33
2. 계선행정, 참모행정, 보조행정: 조직 역할에 의한 분류/33
3. 전략기획행정, 중간관리행정, 운영관리행정: 업무 계층에 의한 분류/34
4. 권위적 행정, 참여적 행정, 방임적 행정: 리더의 역할에 의한 분류/35
5. 외교안보행정, 질서규제행정, 산업경제행정, 사회문화행정:정책 기능에 의한 분류/35
6. 기속행정과 재량행정, 권력행정과 비권력행정:법 적용기준에 의한 분류/36
제4절 정부와 행정환경 37
1. 정부/37
2. 행정환경/41
CHAPTER02 행정의 가치 47
제1절 행정가치의 개념과 유형 47
1. 가치의 개념/47
2. 행정가치의 개념과 유형/48
제2절 행정의 본질적 가치 48
1. 자유/49
2. 평등/52
3. 정의/55
4. 공익/60
제3절 행정의 수단적 가치 63
1. 합리성/63
2. 민주성/65
3. 합법성/67
4. 형평성/68
제4절 행정가치의 갈등과 조정 68
1. 자유와 평등/69
2. 민주성과 능률성, 능률성과 가외성/69
3. 가치 갈등의 조정: 열린 마음, 열린 사회/70
CHAPTER03 행정학 이론의 역사와 발전 73
제1절 행정학 연구의 태동 73
제2절 유럽의 행정학 75
1. 독일 행정학의 발달/75
2. 영국 행정학의 발달/76
제3절 미국 행정학의 발달 79
1. 행정학의 태동(1887~1910년)/79
2. 행정학의 발전기(1911~1950년)/81
3. 행정학의 성숙기(1951~1970년)/83
4. 현대 행정학(1970년 이후)/84
제4절 한국의 행정학 87
1. 한국 행정학의 발달 과정/87
2. 한국 행정학 발전 과정의 평가/89
CHAPTER04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과 접근법 93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93
1. 사회과학의 한 분과 학문/94
2.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와 연관된 종합 학문/94
3. 실천적 도구적 성격이 강한 응용 학문/95
4. 과학과 기술, 예술의 영역을 포괄/96
5. 공익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학문/96
제2절 행정학의 접근법 97
1. 행정학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97
2. 접근법의 분류/98
제3절 현대 행정학의 주요 접근법 99
1. 이념적 접근 방법/99
2. 행태론적 접근 방법/99
3. 체제론적 접근 방법/101
4. 제도론적 접근 방법/102
5. 현상학적 접근 방법/105
6. 공공선택이론/106
7. 거버넌스론/107
8. 신공공관리론/109
9. 신공공서비스론/111
PART02 행정학의 주요 분야
CHAPTER05 정책 과정과 정책 연구 115
제1절 정책 연구의 의의 115
1. 정책학의 학문적 특성과 유형/116
2. 정책학의 두 가지 접근 방법: 내용 vs. 과정 중심/122
제2절 정책 과정에 대한 이해 124
1. 정책의제 설정/124
2. 정책분석/128
3. 정책결정/132
4. 정책집행/137
5. 정책평가/142
CHAPTER06 조직과 개인 149
제1절 조직과 조직 과정 149
1. 조직의 정의/150
2. 조직의 존재 이유/153
3. 조직화/153
제2절 조직이론의 이해 155
1. 폐쇄형 조직이론/155
2. 개방형 조직이론/158
제3절 조직의 효과성 160
1. 합리적 목표이론/162
2. 체계이론/163
3. 이해관계자이론/164
4. 경쟁가치이론/165
제4절 조직구조와 설계 166
1. 조직구조/167
2. 조직구조의 구성 요소/168
3. 조직설계 유형/170
4. 효과적 조직설계/173
제5절 조직에서의 개인 175
1. 조직관리자 중심의 인간관의 변천/177
2. 조직구성원으로서의 개인/179
3. 동기부여이론/184
CHAPTER07 인사와 공무원 191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과 원리 191
1. 인사행정과 인적 자원의 관리/191
2. 인사행정의 기본 원리/193
3. 인사행정 제도의 발달/197
제2절 공직구조와 임용 201
1. 공직구조/201
2. 공무원 임용/206
제3절 공무원의 능력 발전 209
1. 능력 발전의 의의/209
2. 능력 발전의 방법/210
3. 공무원 교육훈련/212
제4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214
1. 직무 수행상의 의무/214
2. 참정권의 제한과 신분 보장/216
3. 근로기본권의 제한/218
CHAPTER08 재정과 예산 과정 223
제1절 정부 예산과 재정 기능 223
1. 정부 예산의 개념/223
2. 정부 재정의 기능/224
제2절 정부 예산의 유형과 원칙 227
1. 정부 예산의 유형/227
2. 정부 예산의 원칙/229
제3절 예산의 과정 233
1. 정부 예산의 회계연도/233
2. 정부 예산의 편성/233
3 예산의 심의 확정/237
4. 예산의 집행/241
5. 결산/245
제4절 예산 결정의 이론 248
1. 예산이론으로서의 점증주의와 총체주의/248
2. 점증주의/249
3. 총체주의/252
제5절 예산 제도의 발달 255
1. 통제, 관리, 계획, 감축의 예산 제도/255
2. 기타 예산 제도/256
PART03 사회 변화와 행정
CHAPTER09 지방자치 263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263
1. 지방자치의 개념/263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264
3. 지방자치단체/268
제2절 지방자치기관 270
1. 기관대립형과 기관통합형/270
2. 지방의회의 지위와 권한/270
3.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권한/273
4.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의 상호 관계/276
제3절 주민참여 278
1. 주민참여의 개념과 유형/278
2. 주민의 직접참여/280
제4절 지방자치와 광역행정 284
1. 광역행정의 의의/284
2. 광역행정의 방식/285
CHAPTER10 정보사회와 전자정부 287
제1절 정보화와 정보사회 287
1. 정보 및 정보화의 개념/287
2. 정보의 속성과 가치/288
3. 정보사회의 출현과 특성/291
제2절 정보사회의 행정환경 298
1. 공공 부문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도입과 역할/298
2. 정보화를 통한 거버넌스/299
3.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전자정부/301
4. 인공지능 도입과 지능정부의 출현/305
제3절 행정정보 체계 306
1. 정보 체계의 개념/306
2. 행정정보 체계의 발달/308
3. 행정정보 체계의 특성/309
4. 관리상의 쟁점/312
제4절 공공 부문 정보화의 방향 314
1. 정보관리의 방향/314
2. 빅데이터 시대의 공공행정/318
CHAPTER11 공공 갈등과 관리 321
제1절 공공 갈등의 개념과 원인 321
1. 공공 갈등의 개념/321
2. 공공 갈등의 특성과 확산 과정/325
3. 공공 갈등의 원인/328
4. 공공 갈등관리의 중요성/331
제2절 공공 갈등의 관리 및 해결 방법 333
1. 공공 갈등의 쟁점/333
2. 공공 갈등의 순환주기/335
3. 공공 갈등의 관리 및 해결 방법/338
4. 공공 갈등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342
제3절 대안적 갈등 해결 방법(ADR) 344
1. 갈등 해결 방법으로서 ADR/344
2. ADR의 개념과 종류/345
3. ADR 활용의 편익/349
4. 정부 부문에서 ADR 활용 방법/352
제4절 공공 협상의 원칙과 전략 357
1. 공공 협상의 개념과 특징/357
2. 공공 협상의 준비와 원칙/362
3. 공공 협상 시 고려 사항/364
4. 공공 협상의 기본 전략/367
참고문헌/371
찾아보기/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