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판
경찰학개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2016년 2월 15일
개정판 제1쇄 2021년 3월 15일
제3판 제1쇄 2025년 2월 28일
지은이 최응렬 하상군 김종길 조성택 송병호 박상진 박헌국 신소영 염건웅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최응렬 외, 2025
ISBN 978-89-7644-987-0
값 33,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례
제3판 머리말/3
개정판 머리말/5
초판 머리말/7
제1편 경찰의 이해
제1장 경찰학 기초
제1절 경찰의 개념 25
1. 대륙법계 국가의 경찰개념/25
2. 영미법계의 경찰개념/28
3. 경찰의 개념 구분/29
제2절 경찰의 기본적 임무 33
1. 개설/33
2. 위험의 방지/33
3. 범죄의 수사 및 서비스/36
제3절 경찰의 수단 38
1. 명령과 강제/38
2. 비권력적 수단/40
3. 범죄수사를 위한 수단/40
제4절 경찰활동의 기초 41
1. 개설/41
2. 협의의 경찰권/41
3. 수사권/42
4. 경찰활동의 유형과 법적 성질/42
제5절 경찰의 관할 43
1. 사물관할(事物管轄)/43
2. 인적 관할(人的 管轄)/44
3. 지역관할(地域管轄)/44
제6절 경찰의 기본이념 46
1. 민주주의/46
2. 법치주의/46
3. 인권존중주의/47
4. 정치적 중립주의/47
5. 경영주의/48
제7절 민주경찰의 윤리적 사상적 토대 48
1. 민주국가의 사상적 기초-사회계약설/48
2. 공동체에서의 법과 윤리/51
3. 경찰의 전문직업화 노력/52
4. 경찰부패의 방지/53
5. 경찰문화에 있어서 냉소주의 극복/55
6. 민주경찰의 바람직한 지향점/56
7. 경찰윤리강령/59
제2장 한국경찰사
제1절 한국경찰의 역사 62
1. 한국경찰의 시대적 구분/62
2. 한국경찰의 시대별 특징/62
제2절 갑오개혁 이전의 경찰제도 63
1. 부족국가시대/63
2. 삼국시대/65
3. 남북국시대/66
4. 고려시대/67
5. 조선시대-갑오개혁 이전/68
제3절 갑오개혁부터 한일합병 이전의 경찰 69
1. 서론/69
2. 갑오개혁과 한국경찰의 창설/69
3. 광무개혁에 따른 경부경찰체제의 출범과 그 좌절/70
4. 을사늑약과 한국경찰권의 상실/71
제4절 식민시기의 경찰 71
1. 헌병경찰시기/71
2. 보통경찰시기/72
제5절 미군정 경찰 72
1. 식민경찰체제 청산의 미흡/72
2. 군정기의 경찰제도/73
제6절 독립 이후 1991년 이전의 경찰 73
1. 내무부 경찰체제의 출범/73
2. 경찰관 직무집행법 등 경찰 관련 법령의 제정/73
제7절 경찰법 제정 이후의 경찰 74
1. 경찰법 제정의 역사적 의의/74
2. 경찰법 제정 이후의 경찰/74
3. 자치경찰제 도입/75
4. 경찰조직의 연혁/75
제3장 비교경찰론
제1절 영국경찰 77
1. 개설/77
2. 잉글랜드와 웨일스 경찰의 조직체계/80
3. 스코틀랜드경찰/84
4. 북(北)아일랜드경찰/84
5. 영국의 형사사법제도/85
제2절 미국경찰 87
1. 개설/87
2. 연방경찰제도/90
3. 주(州)경찰제도/93
4. 도시경찰/94
5. 미국의 형사사법제도/95
제3절 독일경찰 97
1. 개설/97
2. 연방경찰조직/100
3. 주(州)경찰조직/102
4. 독일의 형사사법제도/103
제4절 프랑스경찰 105
1. 개설/105
2. 프랑스경찰의 조직체계/107
3. 프랑스의 형사사법제도/110
제5절 일본경찰 111
1. 개설/111
2. 일본경찰의 조직체계/114
3. 일본의 수사제도/117
제6절 중국경찰 117
1. 개설/117
2. 중국의 형사사법체계/119
3. 중국경찰의 권한/121
제4장 경찰의 법적 토대
제1절 서설 123
1. 경찰과 법치행정/123
2.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124
제2절 경찰조직법 127
1. 경찰조직의 기초개념/127
2. 경찰조직법/130
3. 경찰공무원법/132
제3절 경찰작용법 146
1. 경찰권의 발동근거/146
2. 경찰권발동의 한계/148
3. 경찰작용의 유형/150
4. 행정행위의 효력/159
5. 행정행위의 하자 무효 취소 철회/162
6. 경찰관 직무집행법/165
제5장 경찰관리
제1절 경찰관리자 172
1. 경찰관리자의 의의/172
2. 경찰관리자의 역할/173
제2절 경찰조직관리 175
1. 경찰조직/175
2. 경찰관료제/175
제3절 경찰인사관리 177
1. 인사관리/177
2. 사기관리/179
제4절 경찰예산관리 180
1. 경찰예산/180
2. 관서운영경비/184
제5절 기타 관리 185
1. 물품 등의 관리/185
2. 보안관리/188
제6장 경찰통제 및 경찰개혁
제1절 경찰통제 194
1. 경찰통제의 의의/194
2. 경찰통제의 유형/197
제2절 경찰개혁 209
1. 경찰제도의 개혁/209
2. 경찰의 수사구조 개혁/213
3. 통합 경찰작용법의 제정과 통일대비/215
제2편 경찰활동의 이해
제1장 생활안전 경찰활동
제1절 범죄의 의의 221
1. 범죄의 의미/221
2. 범죄의 원인과 예방/223
제2절 생활안전 경찰 234
1. 생활안전 경찰의 개념/234
2.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 235
제3절 경찰사범단속 239
1. 생활질서업무/239
2. 풍속사범의 단속/239
3. 사행행위의 단속/241
4. 총포 도검 화약류 등의 단속/242
5. 사격 및 사격장 관리/243
6. 기초질서위반 단속/244
제4절 즉결심판 246
1. 즉결심판절차의 의의/246
2. 불출석심판제도/246
제5절 유실물처리 248
1. 유실물법의 주요 내용/248
2. 경찰관서의 유실물처리 조치/250
제6절 소년경찰활동 251
1. 소년의 유형-소년법 및 소년업무규칙/251
2. 소년보호사건의 처리/252
3. 청소년에 대한 규제/253
4. 실종아동등 가출인 업무처리/255
제7절 민간경비활동 257
1. 민 경협력 생활안전체제의 강화/257
2. 민간경비업/257
제2장 수사 경찰활동
제1절 수사의 기초이론 259
1. 범죄의 진압 및 수사/259
2. 수사의 조건/260
3. 수사의 원칙/261
제2절 수사의 과정 262
1. 범죄수사의 단계적 고찰/262
2. 수사의 단서/264
3. 수사첩보 및 범죄첩보의 수집/265
제3절 강제수사 267
1.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267
2. 긴급체포/269
3. 현행범인의 체포/270
4. 구속/271
5. 압수 수색/272
6. 검증/273
제4절 수사서류의 작성 274
1. 수사서류의 작성방법/274
2. 적용법조의 기재요령/275
제5절 현장수사활동 276
1. 초동조치/276
2. 현장관찰/276
3. 변사사건의 처리/277
4. 공조수사/278
5. 지명수배 및 지명통보/279
제6절 범죄감식 280
1. 지문의 종류/280
2. 시체의 초기 현상/281
3. 시체의 후기 현상/282
제7절 수사행정 283
1. 유치/283
2. 호송/284
3. 우범자 첩보수집 등-주요 강력범죄 출소자 등에 대한정보수집에 관한 규칙/285
제8절 폭력사범 수사 287
1.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위반 수사/287
2. 가정폭력범죄 수사/287
제9절 마약류사범 수사 288
1. 마약류의 분류/288
2. 신종마약류/290
제10절 컴퓨터범죄 수사 291
1. 사이버범죄의 정의/291
2. 사이버범죄의 유형 및 특징/291
3. 컴퓨터범죄와 실제 침해유형/292
제3장 경비 경찰활동
제1절 경비경찰의 이해 293
1. 경비경찰의 의의/293
2. 경비경찰의 대상 및 특징/294
3. 경비경찰의 조직운영 원칙 및 수단/295
4. 경비경찰권의 조리상의 한계/295
5. 경비계획/296
제2절 혼잡경비 297
1. 혼잡경비와 다중범죄의 대상을 분류하는 기준-군중의 조직화 정도/297
2. 혼잡경비 활동/297
제3절 선거경비 298
1. 선거경비의 의의/298
2. 후보자 신변보호/299
3. 투표소 및 개표소 경비/299
제4절 재난경비 300
1. 재난경비의 의의/300
2. 재난에 대비한 경찰의 사전조치/301
3. 재난발생 시 현장조치/301
제5절 중요시설경비 302
1. 중요시설경비의 의의/302
2. 중요시설의 실질적 분류-시설이 국가안전에 미치는 중요도/303
제6절 집회 시위의 관리 303
1. 다중범죄의 특징/303
2. 진압활동/304
3. 집회 시위 관리대책/305
제7절 경호 306
1. 경호의 의의 및 원칙/306
2. 경호활동의 종류 및 준비/308
3. 경호의 실시/309
제8절 대테러업무 310
1. 테러의 정의 및 발생요인/310
2. 테러의 예방 및 대응활동/311
3. 테러 발생 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현장조치의 내용/312
4. 각국의 대테러조직/312
5. 치안상황처리 매뉴얼의 주요 내용/313
제9절 경찰작전 315
1. 경찰작전의 의의 및 지휘체계/315
2. 통합방위작전(대간첩작전) 및 전시대비 경찰업무/316
제10절 청원경찰 317
1. 청원경찰의 의의/317
2. 직무감독권자 및 징계/318
제4장 교통경찰활동
제1절 교통경찰 319
1. 교통의 의의/319
2. 교통경찰활동/320
3. 교통규제/320
제2절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 322
1. 도로/322
2. 교통안전시설/323
제3절 차마의 통행방법 325
1. 교차로의 통행/325
2. 일시정지해야 하는 곳/325
3. 앞지르기 및 고속도로 전용차로 통행/326
4. 주취 중 운전금지/327
5. 긴급자동차/330
제4절 교통지도단속 332
1. 교통지도단속의 개요/332
2. 무인교통단속/332
3. 교통정리/333
4. 범칙행위, 통고처분, 과태료처분/333
제5절 운전면허 및 면허행정처분 335
1. 운전할 수 있는 차의 종류/335
2. 운전면허/336
3. 연습운전면허/340
4. 임시운전면허증/340
5. 국제운전면허증/341
제6절 교통사고 342
1. 교통 및 사고의 개념/342
2. 교통사고의 의의 및 특성/343
3. 교통사고 조사/343
4. 교통사고 처리/344
5. 대형교통사고 처리 매뉴얼의 주요 내용/347
6. 교통사고 현장초동조치 매뉴얼의 주요 내용/348
7. 교통사고 현장의 경찰조치요령/349
제5장 정보 경찰활동
제1절 정보의 개관 352
1. 정보의 개념/352
2. 정보의 분류/354
제2절 정보의 순환 358
1. 정보의 순환과정 및 요구/358
2. 첩보의 수집과 생산/361
3. 정보의 배포 및 보안/363
제3절 정보경찰 364
1. 정보경찰의 특징/364
2. 경찰의 정보활동/365
3. 경찰정보보고서 및 채증활동/366
4. 신원조사/367
5. 집회 및 시위에 관한 업무처리/368
제6장 안보수사 경찰활동
제1절 안보수사경찰 374
1. 안보수사경찰의 의의/374
2. 안보수사경찰의 특징 및 임무/374
제2절 방첩활동 375
1. 방첩의 의의 및 기본원칙/375
2. 방첩의 대상/377
제3절 공작활동 380
1. 비밀공작/380
2. 가장/383
3. 연락/385
4. 사전정찰/386
5. 감시/387
제4절 심리전 388
1. 심리전의 의의/388
2. 심리전의 종류 및 방법 수단/388
제5절 보안수사 391
1. 대공상황/391
2. 정보사범(보안사범)/393
제6절 국가보안법 394
1. 국가보안법의 이해/394
2. 국가보안법의 특성/394
3. 보안수사의 대상/397
제7절 보안관찰 400
1. 보안관찰의 개요/400
2. 보안관찰처분의 요건 및 주요 내용/400
제8절 북한의 이해 402
1. 공산주의 이론의 이해/402
2. 북한의 대남전략전술/403
3. 남북교류협력/404
제7장 외사 경찰활동
제1절 국제화와 외사경찰 409
1. 국제질서에 관한 주요 견해/409
2. 국제질서에 대한 사상들의 변천과정 및 치안환경의 변화/410
제2절 외사경찰의 의의 410
1. 외사경찰의 대상 및 특성/410
2. 외사요원의 임무/411
제3절 외사경찰의 대상 412
1. 외국인/412
2. 영사/417
3. 외국군대/417
제4절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 419
1. 개요/419
2. 국제경찰공조의 의의/421
3. 범죄인 인도/423
제5절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사건 수사 427
1.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의 의의 및 대상/427
2. 재판권의 행사/429
3. 재판 전 피의자의 체포 및 구금/430
4. 피의자 조사/431
5. 시설 및 구역의 경찰권 및 손해배상/433
제6절 국기의 게양방법 및 외교관의 서열 434
1. 국기의 게양방법/434
2. 외교관의 서열/435
제8장 기타 경찰활동
제1절 경찰교육훈련 436
1. 경찰교육훈련의 개요/436
2. 경찰교육훈련의 관리/438
제2절 경찰홍보 439
1. 경찰홍보의 의의/439
2. 경찰홍보의 강화 및 전략/441
참고문헌/444
찾아보기/457
제3판
경찰학개론
펴낸날 제1판 제1쇄 2016년 2월 15일
개정판 제1쇄 2021년 3월 15일
제3판 제1쇄 2025년 2월 28일
지은이 최응렬 하상군 김종길 조성택 송병호 박상진 박헌국 신소영 염건웅
펴낸이 임춘환
펴낸곳
주소 (본사)사무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70우신프라자 307호(10387)
(본사)물류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107번길 68-50(10205)
등록 1975년 12월 26일 제3-16호
전화 (031)913-3062, (031)914-3884~5
팩스 (031)913-3839
홈페이지 http://www.dymbook.co.kr
ⓒ 최응렬 외, 2025
ISBN 978-89-7644-987-0
값 33,000원
*잘못된 책은 바꾸어 드립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차례
제3판 머리말/3
개정판 머리말/5
초판 머리말/7
제1편 경찰의 이해
제1장 경찰학 기초
제1절 경찰의 개념 25
1. 대륙법계 국가의 경찰개념/25
2. 영미법계의 경찰개념/28
3. 경찰의 개념 구분/29
제2절 경찰의 기본적 임무 33
1. 개설/33
2. 위험의 방지/33
3. 범죄의 수사 및 서비스/36
제3절 경찰의 수단 38
1. 명령과 강제/38
2. 비권력적 수단/40
3. 범죄수사를 위한 수단/40
제4절 경찰활동의 기초 41
1. 개설/41
2. 협의의 경찰권/41
3. 수사권/42
4. 경찰활동의 유형과 법적 성질/42
제5절 경찰의 관할 43
1. 사물관할(事物管轄)/43
2. 인적 관할(人的 管轄)/44
3. 지역관할(地域管轄)/44
제6절 경찰의 기본이념 46
1. 민주주의/46
2. 법치주의/46
3. 인권존중주의/47
4. 정치적 중립주의/47
5. 경영주의/48
제7절 민주경찰의 윤리적 사상적 토대 48
1. 민주국가의 사상적 기초-사회계약설/48
2. 공동체에서의 법과 윤리/51
3. 경찰의 전문직업화 노력/52
4. 경찰부패의 방지/53
5. 경찰문화에 있어서 냉소주의 극복/55
6. 민주경찰의 바람직한 지향점/56
7. 경찰윤리강령/59
제2장 한국경찰사
제1절 한국경찰의 역사 62
1. 한국경찰의 시대적 구분/62
2. 한국경찰의 시대별 특징/62
제2절 갑오개혁 이전의 경찰제도 63
1. 부족국가시대/63
2. 삼국시대/65
3. 남북국시대/66
4. 고려시대/67
5. 조선시대-갑오개혁 이전/68
제3절 갑오개혁부터 한일합병 이전의 경찰 69
1. 서론/69
2. 갑오개혁과 한국경찰의 창설/69
3. 광무개혁에 따른 경부경찰체제의 출범과 그 좌절/70
4. 을사늑약과 한국경찰권의 상실/71
제4절 식민시기의 경찰 71
1. 헌병경찰시기/71
2. 보통경찰시기/72
제5절 미군정 경찰 72
1. 식민경찰체제 청산의 미흡/72
2. 군정기의 경찰제도/73
제6절 독립 이후 1991년 이전의 경찰 73
1. 내무부 경찰체제의 출범/73
2. 경찰관 직무집행법 등 경찰 관련 법령의 제정/73
제7절 경찰법 제정 이후의 경찰 74
1. 경찰법 제정의 역사적 의의/74
2. 경찰법 제정 이후의 경찰/74
3. 자치경찰제 도입/75
4. 경찰조직의 연혁/75
제3장 비교경찰론
제1절 영국경찰 77
1. 개설/77
2. 잉글랜드와 웨일스 경찰의 조직체계/80
3. 스코틀랜드경찰/84
4. 북(北)아일랜드경찰/84
5. 영국의 형사사법제도/85
제2절 미국경찰 87
1. 개설/87
2. 연방경찰제도/90
3. 주(州)경찰제도/93
4. 도시경찰/94
5. 미국의 형사사법제도/95
제3절 독일경찰 97
1. 개설/97
2. 연방경찰조직/100
3. 주(州)경찰조직/102
4. 독일의 형사사법제도/103
제4절 프랑스경찰 105
1. 개설/105
2. 프랑스경찰의 조직체계/107
3. 프랑스의 형사사법제도/110
제5절 일본경찰 111
1. 개설/111
2. 일본경찰의 조직체계/114
3. 일본의 수사제도/117
제6절 중국경찰 117
1. 개설/117
2. 중국의 형사사법체계/119
3. 중국경찰의 권한/121
제4장 경찰의 법적 토대
제1절 서설 123
1. 경찰과 법치행정/123
2.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124
제2절 경찰조직법 127
1. 경찰조직의 기초개념/127
2. 경찰조직법/130
3. 경찰공무원법/132
제3절 경찰작용법 146
1. 경찰권의 발동근거/146
2. 경찰권발동의 한계/148
3. 경찰작용의 유형/150
4. 행정행위의 효력/159
5. 행정행위의 하자 무효 취소 철회/162
6. 경찰관 직무집행법/165
제5장 경찰관리
제1절 경찰관리자 172
1. 경찰관리자의 의의/172
2. 경찰관리자의 역할/173
제2절 경찰조직관리 175
1. 경찰조직/175
2. 경찰관료제/175
제3절 경찰인사관리 177
1. 인사관리/177
2. 사기관리/179
제4절 경찰예산관리 180
1. 경찰예산/180
2. 관서운영경비/184
제5절 기타 관리 185
1. 물품 등의 관리/185
2. 보안관리/188
제6장 경찰통제 및 경찰개혁
제1절 경찰통제 194
1. 경찰통제의 의의/194
2. 경찰통제의 유형/197
제2절 경찰개혁 209
1. 경찰제도의 개혁/209
2. 경찰의 수사구조 개혁/213
3. 통합 경찰작용법의 제정과 통일대비/215
제2편 경찰활동의 이해
제1장 생활안전 경찰활동
제1절 범죄의 의의 221
1. 범죄의 의미/221
2. 범죄의 원인과 예방/223
제2절 생활안전 경찰 234
1. 생활안전 경찰의 개념/234
2.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 235
제3절 경찰사범단속 239
1. 생활질서업무/239
2. 풍속사범의 단속/239
3. 사행행위의 단속/241
4. 총포 도검 화약류 등의 단속/242
5. 사격 및 사격장 관리/243
6. 기초질서위반 단속/244
제4절 즉결심판 246
1. 즉결심판절차의 의의/246
2. 불출석심판제도/246
제5절 유실물처리 248
1. 유실물법의 주요 내용/248
2. 경찰관서의 유실물처리 조치/250
제6절 소년경찰활동 251
1. 소년의 유형-소년법 및 소년업무규칙/251
2. 소년보호사건의 처리/252
3. 청소년에 대한 규제/253
4. 실종아동등 가출인 업무처리/255
제7절 민간경비활동 257
1. 민 경협력 생활안전체제의 강화/257
2. 민간경비업/257
제2장 수사 경찰활동
제1절 수사의 기초이론 259
1. 범죄의 진압 및 수사/259
2. 수사의 조건/260
3. 수사의 원칙/261
제2절 수사의 과정 262
1. 범죄수사의 단계적 고찰/262
2. 수사의 단서/264
3. 수사첩보 및 범죄첩보의 수집/265
제3절 강제수사 267
1.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267
2. 긴급체포/269
3. 현행범인의 체포/270
4. 구속/271
5. 압수 수색/272
6. 검증/273
제4절 수사서류의 작성 274
1. 수사서류의 작성방법/274
2. 적용법조의 기재요령/275
제5절 현장수사활동 276
1. 초동조치/276
2. 현장관찰/276
3. 변사사건의 처리/277
4. 공조수사/278
5. 지명수배 및 지명통보/279
제6절 범죄감식 280
1. 지문의 종류/280
2. 시체의 초기 현상/281
3. 시체의 후기 현상/282
제7절 수사행정 283
1. 유치/283
2. 호송/284
3. 우범자 첩보수집 등-주요 강력범죄 출소자 등에 대한정보수집에 관한 규칙/285
제8절 폭력사범 수사 287
1.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위반 수사/287
2. 가정폭력범죄 수사/287
제9절 마약류사범 수사 288
1. 마약류의 분류/288
2. 신종마약류/290
제10절 컴퓨터범죄 수사 291
1. 사이버범죄의 정의/291
2. 사이버범죄의 유형 및 특징/291
3. 컴퓨터범죄와 실제 침해유형/292
제3장 경비 경찰활동
제1절 경비경찰의 이해 293
1. 경비경찰의 의의/293
2. 경비경찰의 대상 및 특징/294
3. 경비경찰의 조직운영 원칙 및 수단/295
4. 경비경찰권의 조리상의 한계/295
5. 경비계획/296
제2절 혼잡경비 297
1. 혼잡경비와 다중범죄의 대상을 분류하는 기준-군중의 조직화 정도/297
2. 혼잡경비 활동/297
제3절 선거경비 298
1. 선거경비의 의의/298
2. 후보자 신변보호/299
3. 투표소 및 개표소 경비/299
제4절 재난경비 300
1. 재난경비의 의의/300
2. 재난에 대비한 경찰의 사전조치/301
3. 재난발생 시 현장조치/301
제5절 중요시설경비 302
1. 중요시설경비의 의의/302
2. 중요시설의 실질적 분류-시설이 국가안전에 미치는 중요도/303
제6절 집회 시위의 관리 303
1. 다중범죄의 특징/303
2. 진압활동/304
3. 집회 시위 관리대책/305
제7절 경호 306
1. 경호의 의의 및 원칙/306
2. 경호활동의 종류 및 준비/308
3. 경호의 실시/309
제8절 대테러업무 310
1. 테러의 정의 및 발생요인/310
2. 테러의 예방 및 대응활동/311
3. 테러 발생 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현장조치의 내용/312
4. 각국의 대테러조직/312
5. 치안상황처리 매뉴얼의 주요 내용/313
제9절 경찰작전 315
1. 경찰작전의 의의 및 지휘체계/315
2. 통합방위작전(대간첩작전) 및 전시대비 경찰업무/316
제10절 청원경찰 317
1. 청원경찰의 의의/317
2. 직무감독권자 및 징계/318
제4장 교통경찰활동
제1절 교통경찰 319
1. 교통의 의의/319
2. 교통경찰활동/320
3. 교통규제/320
제2절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 322
1. 도로/322
2. 교통안전시설/323
제3절 차마의 통행방법 325
1. 교차로의 통행/325
2. 일시정지해야 하는 곳/325
3. 앞지르기 및 고속도로 전용차로 통행/326
4. 주취 중 운전금지/327
5. 긴급자동차/330
제4절 교통지도단속 332
1. 교통지도단속의 개요/332
2. 무인교통단속/332
3. 교통정리/333
4. 범칙행위, 통고처분, 과태료처분/333
제5절 운전면허 및 면허행정처분 335
1. 운전할 수 있는 차의 종류/335
2. 운전면허/336
3. 연습운전면허/340
4. 임시운전면허증/340
5. 국제운전면허증/341
제6절 교통사고 342
1. 교통 및 사고의 개념/342
2. 교통사고의 의의 및 특성/343
3. 교통사고 조사/343
4. 교통사고 처리/344
5. 대형교통사고 처리 매뉴얼의 주요 내용/347
6. 교통사고 현장초동조치 매뉴얼의 주요 내용/348
7. 교통사고 현장의 경찰조치요령/349
제5장 정보 경찰활동
제1절 정보의 개관 352
1. 정보의 개념/352
2. 정보의 분류/354
제2절 정보의 순환 358
1. 정보의 순환과정 및 요구/358
2. 첩보의 수집과 생산/361
3. 정보의 배포 및 보안/363
제3절 정보경찰 364
1. 정보경찰의 특징/364
2. 경찰의 정보활동/365
3. 경찰정보보고서 및 채증활동/366
4. 신원조사/367
5. 집회 및 시위에 관한 업무처리/368
제6장 안보수사 경찰활동
제1절 안보수사경찰 374
1. 안보수사경찰의 의의/374
2. 안보수사경찰의 특징 및 임무/374
제2절 방첩활동 375
1. 방첩의 의의 및 기본원칙/375
2. 방첩의 대상/377
제3절 공작활동 380
1. 비밀공작/380
2. 가장/383
3. 연락/385
4. 사전정찰/386
5. 감시/387
제4절 심리전 388
1. 심리전의 의의/388
2. 심리전의 종류 및 방법 수단/388
제5절 보안수사 391
1. 대공상황/391
2. 정보사범(보안사범)/393
제6절 국가보안법 394
1. 국가보안법의 이해/394
2. 국가보안법의 특성/394
3. 보안수사의 대상/397
제7절 보안관찰 400
1. 보안관찰의 개요/400
2. 보안관찰처분의 요건 및 주요 내용/400
제8절 북한의 이해 402
1. 공산주의 이론의 이해/402
2. 북한의 대남전략전술/403
3. 남북교류협력/404
제7장 외사 경찰활동
제1절 국제화와 외사경찰 409
1. 국제질서에 관한 주요 견해/409
2. 국제질서에 대한 사상들의 변천과정 및 치안환경의 변화/410
제2절 외사경찰의 의의 410
1. 외사경찰의 대상 및 특성/410
2. 외사요원의 임무/411
제3절 외사경찰의 대상 412
1. 외국인/412
2. 영사/417
3. 외국군대/417
제4절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 419
1. 개요/419
2. 국제경찰공조의 의의/421
3. 범죄인 인도/423
제5절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사건 수사 427
1.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의 의의 및 대상/427
2. 재판권의 행사/429
3. 재판 전 피의자의 체포 및 구금/430
4. 피의자 조사/431
5. 시설 및 구역의 경찰권 및 손해배상/433
제6절 국기의 게양방법 및 외교관의 서열 434
1. 국기의 게양방법/434
2. 외교관의 서열/435
제8장 기타 경찰활동
제1절 경찰교육훈련 436
1. 경찰교육훈련의 개요/436
2. 경찰교육훈련의 관리/438
제2절 경찰홍보 439
1. 경찰홍보의 의의/439
2. 경찰홍보의 강화 및 전략/441
참고문헌/444
찾아보기/457